올해 전기차 보급 8% 감소…업계 자구책 '안간힘'
충전인프라도 직격탄…브랜드사업 소진율 저조
전문가들 "보조금·인프라 확대 없인 캐즘 극복 어려워"
![서울 강남구의 한 전기차 충전소 [제공=연합뉴스]](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11/345965_550466_5254.jpg)
정부가 2030년까지 420만대 전기차 보급을 목표로 세웠지만 최근 보급 추세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더 큰 문제는 정부와 지자체들이 내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크게 삭감하기로 해 전기차 산업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보조금 확대와 충전 인프라 구축 등 과감한 지원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6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기차 보급 대수는 10만845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만7610대)보다 7.8% 감소했다. 신규 등록도 2022년 16만4486대에서 지난해 16만2605대로 줄었고, 올해는 14만대에 그칠 전망이다. 초기 수요층인 얼리어답터에서 일반 구매자층으로 전환되며 발생한 '캐즘(수요 둔화)' 현상과 함께, 지난 8월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로 인한 '전기차 포비아' 확산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상황은 더 악화될 조짐이다. 환경부는 내년도 전기차 보급 예산을 1조5218억원으로 책정했는데, 이는 올해(1조7340억원)보다 2122억원(12.2%) 줄어든 규모다. 전기승용차 보조금도 현행 4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축소된다.
특히 지자체별 보조금 감소폭은 더 크다. 서울시의 경우 전기차 보조금이 올해 7391억원에서 내년 1339억원으로 81.9% 급감했다. 부산은 62.3%, 경기도는 48.0%, 인천은 31.5% 각각 줄었다.
이런 추세라면 전문가들은 정부의 2030년 전기차 420만대 보급 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올해 9월까지 누적 보급대수는 67만3604대에 불과하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앞으로 매년 58만대가 보급돼야 하지만, 현재 추세로는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자동차 업계는 위기감을 느끼고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현대차는 '로컬 전기차 페스타'를 통해 지역별로 최대 100만원의 추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아는 EV9 250만원, 봉고EV 200만원 등 차종별 자체 할인을 실시 중이다. 테슬라도 모델Y 구매 시 최대 36개월 무이자 할부를 제공하고 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지난 6월 KAMA 친환경차분과 회의에서 "독일이 최근 폐지하기로 했던 보조금을 다시 지원하기로 한 것처럼, 보조금은 전기차 보급에 핵심 요소"라며 "향후 2~3년간 한시적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2022년 수준으로 유지하고 충전요금 할인 특례를 부활하는 등 지속적이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도 "충전 인프라 구축과 화재 포비아 해소가 시급하다"며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을 다양화해 수요 둔화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기차 보급 감소는 충전 인프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환경부가 추진한 1·2차 무공해차 브랜드 사업에서 선정 사업의 예산 소진율이 매우 낮았다. 1차의 경우는 20%에도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업계는 충전기 설치에 따른 높은 자부담 비용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주된 이유 중 하나가 충전 인프라 부족이지만, 현재의 미지근한 보조금 체계로는 충전기 확대와 고도화가 더딜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충전업체 관계자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구축이 선결 과제"라며 "충전기 설치 보조금을 전향적으로 확대해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전기차 시장의 캐즘을 극복하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