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휴게소 전기차 충전기 1287기로 명절 때 태부족
인프라 부족으로 불편 호소...정부, 이동식 충전으로 대응
충전소 확대 ‘빨간불‘...과도한 수수료에 사업자 발길 돌려
![추석 연휴 기간 차들로 붐비는 경부고속도로. [사진=연합뉴스]](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9/343254_546959_2815.jpg)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는 가운데 고속도로 휴게소의 충전 인프라가 심각하게 부족한 실정이다. 전기차 대비 충전기 수가 현저히 부족해 명절 기간 극심한 혼잡이 예상되면서 정부와 한국도로공사의 신속한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태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와 쉼터 220곳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1287기에 불과하다.
이는 누적 전기차 등록 대수 약 63만대를 고려하면 고속도로 휴게소의 충전기 1기당 무려 494대의 전기차가 몰리는 셈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국내 누적 전기차 보급 대수는 63만5847대에 달한다.
대다수 전기차 운전자들이 고속도로 주행 전 충분히 충전하더라도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혼잡과 불편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차량 이동이 급증하는 추석 명절 기간에는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와 도로공사는 충전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부는 전략적으로 생활 및 이동 거점을 중심으로 충전시설을 구축 중이며 고속도로 휴게소, 국도변, 주유소 등에 급속충전기를 집중 배치하고 있다.
![에바의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무비(MooeV)' [사진=에바]](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9/343254_546960_2943.png)
도로공사 역시 2022년부터 단계적으로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1차(SK일렉링크, 198기), 2차(이지차저, 184기) 사업에 이어 올해 9월 초 3차 사업 시행자를 선정했다. 3차 사업은 SK시그넷(195기)과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워터(209기)가 각각 맡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환경부는 명절 등 충전 수요가 급증하는 시기에 대비해 이동식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는 배터리팩을 탑재한 차량이 수요가 있는 곳을 찾아가 충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올 추석 기간에는 기흥 휴게소 등 6곳에서 시범 운영됐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충전기 보급 확대 과정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매년 도로공사가 충전소 구축 사업을 진행하지만 참가 충전 사업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부지가 가진 매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주된 원인으로는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둔화와 더불어, 도로공사가 요구하는 높은 부지 사용료가 지목되고 있다.
3차 사업의 경우 도로공사는 최소 투찰 사용료율을 19.59%로 책정했다. 이는 충전 운영 사업자가 매출의 약 20%를 부지사용료로 납부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낙찰자의 투찰요율은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천휴게소 이지차저 초급속 충전소. [t사진이지차저]](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9/343254_546961_3027.jpg)
충전 업계 관계자는 “매출의 20% 이상을 부지 사용료로 납부하는 것은 업체들에게 상당한 부담”이라며 “이로 인해 국내 선두 급속충전 사업자와 대기업들조차 공모 참여를 꺼리거나 중도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도로공사가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수요 둔화와 충전 사업의 낮은 수익성 등을 고려해 정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문제는 환경부의 공공 급속충전기 민간 이양 사업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당초 ‘우량’ 부지 확보를 둘러싼 경쟁이 예상됐으나, 실제로는 도로공사 등 부지 소유주들이 수익성 높은 ‘노른자’ 위치는 선점하고, 사업자들에게는 수익성이 낮은 곳에 높은 수수료를 요구해 사업 매력도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태준 의원은 “전기차 보급 확대에 발맞춰 정부와 한국도로공사가 충전 인프라 구축과 확장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