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 세계 70개국에 석유제품 총 4억6672만배럴 수출
2년 연속 수출국가 수 증가 그래프…對호주 수출 비중 1위

정유업계 수출물량 현황.(제공=석유협회)
정유업계 수출물량 현황.(제공=석유협회)

국내 정유사들이 점차 줄어드는 중국 석유제품 수출 감소 대책으로 수출국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25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업계가 전 세계 70개국에 석유제품 총 4억6672만배럴을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국가 수가 2년 연속 증가 그래프를 그리는 모습이다. 지난 2021년 58개였던 수출국이 2022년 64개로 늘어났고 지난 해에는 70개국에 수출, 역대 2위를 차지했다.

이 같은 수출국 다변화는 최근 중국을 대상으로 한 석유제품 수출 감소에 대한 대책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환경변화와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정유업계가 새로운 수출국을 발굴하고 집중하는 대응 전략이라는 게 석유협회 측의 설명이다.

중국은 2016년 이후 6년 연속 우리의 최대 수출 상대국이었다. 그러나 제로코로나 정책과 중국 내 석유제품 자급율 상승으로 대(對)중국 수출액 비중이 2020년 29.5%에서 지난해 7.5%까지 급감하고 순위도 5위로 미끄러졌다.

중국의 빈자리는 호주가 차지했다.

호주는 BP, 엑슨모빌이 2021년경 호주내 Kwinana(14.5만b/d), Altona(8.6만b/d) 정유공장 등 전체 정제설비 중 50%를 폐쇄조치했다. 이와 관련한 석유제품의 부족분을 수입에 의존해야 했는데, 국내 정유사가 발빠르게 수출물량을 늘린 결과 2020년 6위에 해당하던 수출국 순위가 급상승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국내 정유사는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 프랑스, 영국 등 서구권 국가와 앙골라, 케냐 등 아프리카 및 심지어 UAE,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등 중동 산유국에도 ‘K-Oil’을 수출해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비산유국으로서의 한계를 넘어서 석유제품 수출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국내 정유사의 이 같은 수출확대 노력은 국가 무역수지 적자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정유업계는 10여년 전부터 원유도입액의 50% 이상을 수출로 회수해 왔는데, 지난해 정유업계 원유도입액 806억달러중 석유제품 수출로 58%인 463억7000만달러를 회수해 2022년 60%에 이어 역대 두번째 회수율을 기록, 국가 무역수지 적자 해소에도 기여했다.

수출액 기준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2023년 국가 주요 수출품목 중 4위를 기록해 최근 3년 연속 상위 5개 품목 안에 자리하며 수출산업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한 국내 석유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SAF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유업계는 올해도 정유산업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수출 및 수출국다변화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 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