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근 전력거래소 팀장, 전력시스템·시장의 통합적 개혁방안 토론회서 발표
“수급계획 최종연도에는 출력제어량 20~30% 될 것…ESS 수백GWh 필요해”
“수요창출·섹터커플링 등 대안 논의해야…재생에너지 진입 확대 조정돼야”

이창근 전력거래소 팀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에너지전환포럼 유튜브 화면 캡처)
이창근 전력거래소 팀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에너지전환포럼 유튜브 화면 캡처)

“제주에서 발생하는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백GWh의 에너지저장장치(ESS)가 필요한만큼 사실상 다른 대책이 추가로 필요하다.”

이창근 전력거래소 계통계획팀장은 10일 에너지전환포럼이 개최한 ‘에너지전환시대의 전력산업·시장 통합적 개혁 방안 토론회’ 주제발표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제주도 재생에너지 출력조정의 이유와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이 팀장은 현재 제주도의 최저수요가 400MW 전후로 형성되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설비 규모만  최저수요의 223%에 달한다고 전했다. 다만 최저수요가 늘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대표적인 수치로 언급하긴 어렵지만, 이미 최저수요시 공급과잉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다.

이 팀장은 미래계통을 분석한 결과 정부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최종 연도에는 출력제어량이 전체 설비의 20~3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경우 매출의 30%가 줄어든다는 얘기로 사실상 사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주로 ESS가 거론되는데 이것만이 해법이 될 수는 없다는 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수요량을 어떻게 늘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뿐 아니라 섹터커플링 등 다양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

이미 제주도에는 HVDC 1,2 연계선을 이용한 육지로의 전력 역송과 주파수 조정용 ESS 90MW 설치, 풍력 연계 ESS의 충방전 시간 조정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특히 지난 2020년 1월부터는 발전기의 최소출력을 하향해 가급적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높게 수용하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출력제어 문제 해소를 위해 HVDC 3연계선을 준비 중이며, 10차 전기본을 통해 2026년까지 300MWh의 ESS를 추가로 건설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 팀장은 이 같은 계획과 함께 3연계선이 준비되더라도 기술적인 측면에서 육지로 역송할 수 있는 양은 400MW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600MW까지 역송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일부 설비에서 주파수 제어 문제로 운전 모드를 바꾸면 전체 역송량은 400MW로 줄어든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DC와 ESS 제어기 성능을 개선한다면 역송량을 늘릴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역송량을 늘린다고 해도 연계선이 이어진 전남 지역에서 이를 받아줄 수 있는가는 여전히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최저수요 대비 재생에너지 설비 규모가 200%를 넘기는 현 상황에 무분별한 재생에너지의 진입 확대는 다소 조정돼야 한다고 이 팀장은 제언했다.

이 팀장은 “(출력제어량을) 배터리에 담으면 얼마나 필요할지 분석 중인데, 수백GWh의 설비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온다. 이걸 제주에 담자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며 “배터리 뿐 아니라 수요창출과 섹터커플링이 다양하게 논의돼야 한다. 재생에너지 사업자들도 출력제어를 일부 받아야할 것이고, 재생에너지 진입도 계속 늘어나서 될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