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연간 균등 발주 등 제도개선 필요…업계 전문화 유도해야
가공송전협의회 발족, 발주방식개선·적정품셈 제정 등 役 할 것
장덕근 가공송전협의회 회장 인터뷰

가공송전 분야가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높은 철탑 위에서 일을 하다 보니 위험성 때문에 신규 인력 지원이 끊기면서 이대로 간다면 철탑공사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상황까지 놓이게 된다.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전력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의 확대 보급으로 인해 전력망에 대한 투자가 시급한 상황에서 일할 사람이 없어 전력망을 구축하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도 우려된다.
전기공사업계는 가공송전 분야 인력난 해결을 위해 가공송전분야 전문 협의체를 만들어 인력 관리는 물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안전관리 강화 방안까지 가공송전분야를 전문화하고 제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가공송전협의회 창립을 이끌고 있는 장덕근 가공송전협의회 회장(대일전기 대표)은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기준까지 완화와 경쟁은 치열해지고 인력을 구하기 힘들고 이에 따라 인건비는 급격히 상승 하는 등 3중고를 겪고 있다”며 “가공 송전의 현안은 앞으로 전력계통 정책 전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가공송전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전기원은 400명 남짓으로 추산한다.
특히 인력을 수급해 현장을 관리하며 일할 수 있는 업체도 30~40개 남짓이다. 하지만 154kV 복도체부터 6도체 공사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은 1670여개다. 결국 대부분의 업체들은 입찰만 보고 실제 일은 안하고 하도급을 주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장덕근 회장은 “입찰 구조가 이런 상황이다 보니 업체들은 인력양성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며 “특히 중대재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한전이 시행하고 있는 공동수급체 구성방식을 보면 4도체 공동도급 공사의 경우 4도체 실적업체와 전기공사 면허보유 업체가 낙찰을 받아 공사를 수행하면 6도체 적격을 획득하게 된다. 한전은 지난 1997년부터 신규 사업자의 수주기회 확대를 통해 적격 업체를 확대해 왔는데, 적격업체가 급격하게 늘면서 인력양성은 물론 기술투자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것이다.
장덕근 회장은 “변전과 지중송전 분야와 같이 전문분야의 경우 명확한 적격 심사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으며, 품셈 개정 또는 제정을 통해 경쟁력 있는 기업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2년에 한 번 선정하는 한전 송전협력업체의 경우 2년 계약금액이 15억원~20억원 정도 밖에 안 되는데 이 금액으론 인력과 장비를 유지하며 일을 할 수 없는 만큼 예산증액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공송전업계는 특히 현재의 인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한전이 제도적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다.
장 회장은 “송전탑 유지 보수의 경우 대부분 일이 9월~11월 3개월간 집중된다”며 “특정 시기에 일이 몰리다 보니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있고, 현장의 안전문제도 소홀해 질 수 있어, 연중 균등 발주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정 시기에 일이 집중되면서 제한된 인력 빼내기 경쟁이 심해져 송전전공의 하루 일당이 무한정 치솟는다. 가공송전업계는 인력, 입찰방식 등 현안에 대해 적극 대응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공송전기업들이 보다 전문화 될 수 있도록 가칭 ‘가공송전협의회’를 정식 발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국 기공송전건설 업체를 대상으로 협의회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설명회를 열었으며, 13일 3차 설명회를 열고 1분기 중 발족할 계획이다. 현재 참여 의사를 밝힌 기업은 100여개사에 이르며, 업계의 관심이 높은 만큼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
장 회장은 “협의회에선 앞으로 가공송전 설비 디지털화 대비공법 개발에서부터 가공송전 전기원 양성을 통한 양질의 현장 인력확보, 전문회사 운영체계 구축을 통한 경영환경 개선 등 업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