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2024년 제2차 KEMIA 에너지혁신 기술 세미나’ 개최

지난 24일 '중소중견기업 RE100 이행 방안 및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세미나'에 참가한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KEMIA]
지난 24일 '중소중견기업 RE100 이행 방안 및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세미나'에 참가한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KEMIA]

KEMIA가 중소·중견기업의 RE100 활성화를 위해 나섰다.

한국에너지중소혁신기업협회(회장 김구환)는 24일 라한셀렉트 경주호텔에서 ‘2024년 제2차 KEMIA 에너지혁신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중소·중견기업 RE100 이행 방안 및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주제로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공공형 산업단지 RE100 플랫폼을 통한 PPA 확산모델과 VPP 관련 기술 및 시장 동향을 공유해

RE100을 달성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고 에너지신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지자체 주도 재생에너지 보급과 확대 모델 제안 및 경제성 분석, 산단 중소·중견기업 RE100 이행 지원사례,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신산업, 실시간 전력시장 참여를 위한 발전예측 모델, 분산에너지법 시행에 따른 VPP 서비스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먼저 최종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자체가 보유한 공공 유휴부지를 활용해 재생에너지를 확대할 수 있는 공공형 산업단지 RE100 플랫폼 모델을 제안했으며 이철욱 창원에스지에너지 대표이사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리는데 직접 기여하는 PPA 계약의 접근성을 높이고, 불합리한 규제는 완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석만 한국에너지공단 팀장은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시스템, 기술, 지역 측면에서 조화를 이루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발전하도록 정책, 제도 등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백승엽 백승엽 대표이사는 에너지시장의 게임체인저가 VPP가 될 것이라며, VPP 운영의 핵심 기술은 발전량 예측 능력의 강화라고 말했다. 편장호 그리드위즈 팀장은 분산에너지 특별화 지역 지원을 통해 지역 내 신규 에너지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구환 KEMIA 회장은 “정부는 다양한 분산자원의 확대를 지원하고 있으나 분산자원 간 시너지 창출 방안은 부재하다”면서 “지속가능한 분산자원 융합 솔루션으로 에너지신시장의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에너지신산업을 정착시키고 활성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