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건설인력 부족
해외서 일부 인력 충당 검토
전문업체에 대한 안정적 작업 환경 조성
중장기 인력 양성 유도해야
“해외 인력에 전력망 운영 맡기는 것은
국방을 외국에 맡기는 꼴"

지난 5월 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정동욱 총괄위원장은 “우리 전력산업의 긴급한 과제는 전력망 확충”이라며 “전원계획을 아무리 수립하더라도 결국 성공 전력망 확충에 달렸다”고 말했다. 그만큼 전력망 확충은 국가적 과제가 됐다. 실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력망 확충이 에너지전환을 성공여부를 가늠하는 열쇠다. 올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린 26회 세계 에너지협의회 연차총회에서 에너지전환을 위해선 반드시 전력망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주 테마였다. 그만큼 적기 전력망확보는 에너지전환과 산업경쟁력의 척도가 됐지만, 현재 심각한 내부 홍역이 불가피해 보인다.
장덕근 가공송전협의회 회장은 “우리나라가 보유 하고 있는 전문 송전전공은 자격증만 보유한 인력을 제외하면 350명 정도에 불과하다. 350명도 노령화가 진행되면서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런 현상을 방치 할 경우 우리나라전력 계통 유지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장 회장은 “동해안 신가평 500KV HVDC 11개 공구의 일할 대기업과 송전 전문업체가 낙찰 받아 일을 하고 있는데 대기업과 전문기업이 인력을 양성 할 수 있도록 공사 규모별로 적격심사 기준을 마련해서 인력 양성을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력망을 확충하고 싶어도 국내에는 일할 사람이 없어 해외에서 인력을 들여와야 하는 상황까지 몰렸다. 정부는 부족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인력 도입을 검토 중이다.
현재 구체적인 도입 국가는 물론 인력 수요까지 정해졌으며, 근로조건 등에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력도입을 위해선 법무부의 비자제도 개정, 도입 인력에 대한 역량 평가 등이 선행되면 오는 9월경 20여명의 인력이 국내에 입국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 입국하면 전문기관에서 약 한 달간 국내 시공여건 적응 훈련 등을 거쳐 현장에 투입될 전망이다. 불가피 하게 해외인력을 도입하려는 것은 그만큼 인력 부족이 절실한 상황에 몰렸기 때문이다.
한전 등 전력당국에 따르면 동해안 수도권 송전선로 건설 사업으로 인해 일시적 인력증가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송변전설비 건설 및 운영인력은 최대 990여명의 동시 소요 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차 장기송변전설비 계획에 따른 설비 증감을 감안할 때 전력설비에 대한 투자는 큰 폭으로 증가한다. 10차계획에 따르면 2030년 까지 투자될 금액이 56조에 달한다. 계획대로 투자 된다면 현재 기준으로 부족한 인력은 500여명 이상이 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전문업체에 대한 안정적 작업 환경 조성 중장기 인력양성 유도
해외인력에 전력망 운영 맡기는 것은 국방을 외국에 맡기는 꼴
전력망은 사람으로 치면 대동맥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막상 일할 사람이 없다는 것은 심각한 국가 경쟁력 상실의 위기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인력이 부족한 것은 2014년 밀양 송전탑 공사가 끝난 후 대규모 송전선로 공사가 없었다. 그렇다 보니 기존 송전선 유지보수 공사가 주를 이뤘으며, 인력양성도 시들해 졌다.
장덕근 회장은 “ 전문업체의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지 않으면 송전전공 유입에 장애가 될 수밖에 없는 만큼 전문인력 수급 대책으로 안정적 작업조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제도적으로 업체들이 인력양성에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중장기 계획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 해외 인력을 도입하는 것이 당장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수 있지만 중장기 적으로 국가 주요 인프라를 해외 인력의 손에 맡기는 꼴로 전락할 수 있는데 이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 법무부도 해외 인력이 도입 되도 우리 인력의 고용을 보호하고 늘릴수 있는 방안도 고려할 것을 주문 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 회장은 “전력망건설도 중요하지만 유지보수는 대규모 정전으로 이어지는 데, 이런 중요할 설비를 해외 인력을 맡기는 곳은 국방을 해외 인력에 맡기는 것과 유사하다”며 “ 건설인력 부족의 심각성은 이해 되지만 업계에 대한 제도개선 및 안정적인 경쟁 기반을 마련해 인력을 양성할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