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학회·전력거래소 주관 패널세션 ‘915 순환단전, 10년의 교훈과 도전과제’서 전문가들 한 목소리

15일 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9.15 순환단전, 10년의 교훈과 도전과제’ 세션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광호 강원대 교수(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조직위원장, 정형석 전기신문 기자, 최홍석 전력거래소 팀장, 문영환 전기연구원 박사, 박종배 건국대 교수, 김성환 한전 부장)
15일 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9.15 순환단전, 10년의 교훈과 도전과제’ 세션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광호 강원대 교수(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조직위원장, 정형석 전기신문 기자, 최홍석 전력거래소 팀장, 문영환 전기연구원 박사, 박종배 건국대 교수, 김성환 한전 부장)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시대에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서는 신뢰도 확보기준을 강화하고, 전력계통 신뢰도 유지를 위한 규제기관 등 새로운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전력전문가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15일 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전력거래소 주관으로 열린 ‘9.15 순환단전, 10년의 교훈과 도전과제’ 패널세션에서 전문가들은 지난 2011년에 발생한 순환단전의 주요 이슈를 되짚어보고 향후 10년 간 전력산업의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패널세션은 전력계통 운영에 유례가 없었던 순환단전 시행 10주년을 맞이해 순환단전의 시사점과 함께 신재생3020,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등 전력산업이 맞이하게 될 미래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 위한 지혜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박종배 건국대 교수는 “전력시장과 전력계통의 복잡성이 이미 변곡점을 지나가고 있다”며 “9.15 순환단전 당시와는 전혀 다른 환경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변동성 재생에너지의 급증, 극단적인 기상변화 등으로 기존 전력시장과 전력계통 계획, 운용은 이미 수명을 다해가고 있다”며 “계통 운영기관이 ‘휴먼 리소스 기관’에서 ‘시스템 기관’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영환 전기연구원 박사는 순환단전과 같은 사태의 예방을 위한 해법으로 계통 신뢰도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력감독원의 신설을 주장했다.

문 박사는 “순환단전을 겪은 이후 전력감독원 신설을 추진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며 “관련 법규를 제정해 규제기관(정부)과 신뢰도기술기관(비정부)이라는 구조를 조속히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최홍석 전력거래소 팀장은 “태양광과 풍력이 증가하면서 원인유발자 논쟁(제어대상 선정), 이용규정의 공정성(무보상 규정), 망 사업자의 책무한도(설비보강), 전원간 제어순서(형평성과 효율성) 등의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의 법률적 신뢰도 확보기준을 강화해 전력계통의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환 한전 부장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기존 배전망을 단순히 관리하는 개념을 넘어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DSO역할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정형석 본지 에너지비즈팀장.
정형석 본지 에너지비즈팀장.
정형석 본지 팀장은 “9.15 순환단전은 전력수요예측 실패와 예비력 부족 때문”이라며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거래소가 계통을 운영하는데 과거보다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