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혼잡 처리, 계통관성 유지 등 전력망 운영 기술 필요
유연성 자원, 재생E 통합관제 체계 구축 필요 지적도

15일 전기학회 하계 학술대회 ‘에너지 전환 시대, 국내 전력계통의 역할과 준비’ 패널 세션에서 관계자가 발표하고 있다.
15일 전기학회 하계 학술대회 ‘에너지 전환 시대, 국내 전력계통의 역할과 준비’ 패널 세션에서 관계자가 발표하고 있다.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방안으로 계통관성 안정도 유지 기술 등 전력망 운영 기술 고도화와 함께 유연성 자원과 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15일 전기학회 하계 학술대회 기간에 열린 ‘에너지 전환 시대, 국내 전력계통의 역할과 준비’를 주제로 한 페널 세션에서 관련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계통 구축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정호 전기연구원 전력망연구본부장.
이정호 전기연구원 전력망연구본부장.
이정호 전기연구원 전력망연구본부장<사진>은 “캘리포니아나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대규모 재생에너지 도입 확산에 따라 계통운영 상의 문제점이 반복해서 노출되고 있다”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망 운영 기술 개발은 필수가 됐다”고 진단했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계통운영은 같이 맞물려 있는 관계인만큼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적으로 늘리려면 계통운영 방안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게 이 본부장의 분석이다. 이를 위해 이 본부장은 망혼잡 처리, 계통관성 감시와 안정도 유지 기술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또 “유연성 자원의 역할 또한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중요도가 올랐다”며 “잉여전력의 저장·이용, 플러스DR, 재생에너지 출력예측 등 전력망의 유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만근 전력거래소 계통개발실장은 재생에너지 확대 대응을 위한 추진과제에 대해 설명했다.

박 실장은 “에너지전환 계획은 비용효과적인 재생에너지 수용계획을 수립하는 게 핵심”이라며 “용량적정성(CA), 유연적정성(FA), 송전적정성(NA)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체계의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발전량 예측모델을 통해 태양광, 풍력 발전량을 예측하고 GIS, WEB 기반의 기상현황 감시 시스템 등을 구축해 재생에너지 발전량과 기상 현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호용 한전 그리드정책실장은 재생에너지 증가에 대비해 안정적인 전력계통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재생에너지 접속대기를 조기에 해소하고 계통수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송·배전설비를 신속히 확충해 재생에너지 연계용량을 확보”하고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계통에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