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1일 이틀간 각 100MW가량 조치…실제 차단은 공기업 설비 25MW
원전 감발운전 규모 예년 비해 급증...원전과 재생E 공존은 가능한가 의문도
예상보다 높은 봄철 전력수요에 출력제어 ↓…연휴 이어져 추가 발동 예상

연휴가 이어진 지난 4월 30일, 5월 1일 양일간 태양광 설비를 대상으로 한 출력제어가 발생됐다. 다만 실제 출력차단은 공기업 보유 설비 25MW를 대상으로만 진행돼 민간 사업자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제공=연합뉴스)
연휴가 이어진 지난 4월 30일, 5월 1일 양일간 태양광 설비를 대상으로 한 출력제어가 발생됐다. 다만 실제 출력차단은 공기업 보유 설비 25MW를 대상으로만 진행돼 민간 사업자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제공=연합뉴스)

정부가 봄철 전력수급 안정화 대책을 내놓은 이후 첫 번째 출력제어가 발동됐다. 이번 출력제어에 앞서 국내 원전 5기에서 1.1GW 규모의 감발운전이 이뤄지는 등 열악한 계통여건을 여실히 노출했다.

2일 복수의 전력산업 관계자에 따르면 노동자의 날을 맞아 휴일이 이어진 4월 30일, 5월 1일 양일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발생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출력제어는 양일간 각 100MW가량 시행됐다. 발전 및 계통 문제로 태양광 발전소의 저전압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사전조치였다는 게 전력거래소 관계자의 설명이다.

전력당국은 재생에너지 출력제어에 앞서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이미 석탄 및 LNG 화력발전은 계통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기준만 맞춰 운전 중이며, 원전도 1.1GW를 감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한빛3호기 200MW ▲한빛6호기 200MW ▲신고리2호기 200MW ▲새울2호기 300MW ▲신월성1호기 200MW 등 총 5기가 5시간 동안 1.1GW를 감발운전했다.

최근 2~3년간 명절연휴에 진행된 감발운전이 200~600MW 수준인 것을 감안할 때 이번 감발운전 규모는 이례적으로 컸다.

업계 한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량 증가와 계통부족이 맞물리며 저렴한 발전원을 1.1GW나 감발해야 하는 현 상황은 고민해야 할 문제”라며 “태양광과 원전이 현 시스템 안에서 공존하는 게 가능한 일인가”라고 꼬집었다.

다만 이번 출력제어로 인한 민간 사업자의 손실은 사실상 없었다는 게 한전 측의 설명이다.

이번에 조치된 출력제어 가운데 실제 계통에서 차단까지 시행된 것은 5월 1일 25MW에 불과했으며, 이 25MW도 민간이 아닌 공기업 보유 설비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4월 30일 시행된 출력제어 전 물량과 5월 1일 시행된 물량 중 나머지는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연계된 사업장이 대상이었기 때문에 출력차단까지 진행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부는 당초 봄철 시행할 영·호남 지역의 태양광 출력제어 규모를 1.05GW까지 전망했지만 실제 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출력제어 규모로 예측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업계는 평가한다.

이유는 예상보다 봄철 전력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초 봄철 최저 전력수요를 40.3GW로 예측했지만 실제 수요는 43~44GW 정도가 발생했다.

정부와 한전이 전력계통 안정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태양광 지속운전성능 구비를 위한 인버터 개선사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한전에 따르면 이번 인버터 개선사업은 오는 9월까지 영·호남 지역에서 2.8GW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이와 관련 현재 2.4GW 규모의 설비가 개선사업을 완료하면서 전력설비 고장으로 발생하는 저주파수, 저전압으로 인한 태양광 설비의 대규모 탈락사태를 다소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이달에도 비슷한 규모로 소폭 출력제어는 추가 발생할 것으로 전력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4, 5월간 전력수요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비슷한 규모의 출력제어가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당장 5일부터 3일간 연휴가 추가로 이어지는 만큼 이 기간 동안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

전력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기저발전을 대상으로 모든 조치를 취한 후 태양광 설비까지 출력제어가 발동은 됐지만, 대부분 ESS 연계설비를 대상으로 하면서 전기를 저장해둘 수 있었기 때문에 민간을 대상으로 한 출력차단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며 “이번 출력제어로 인한 차단은 공기업 설비를 대상으로 이뤄진 만큼 민간 피해는 최소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