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수출로 기자재 업체 수혜
위기 빠진 서플라이체인 복구”
일부 업계 “정부정책 변함없어
실질적으로 혜택 크지 않을 듯”

제공: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전기신문 윤재현 기자]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동성명을 내고 발표한 한-미 간 해외 원전시장 공동진출을 두고 부산, 창원의 원전 기자재 업체들은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미국은 지난 1979년 스리마일 원전 사고 이후 신규 원전건설을 거의 중단하면서 사실상 독자적인 원전 시공 능력을 상실했다. 부품 제조공장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이로 인해 원전 주기기 제작업체인 두산중공업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부산, 창원에 밀집된 협력업체들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관계자는 “탈원전으로 두산중공업에 의존하던 일부 원전기자재 업체가 업종을 전환했거나 폐업했지만 수십 년 원전을 건설하지 않은 미국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 수출이라는 게 기술력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한국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을 가진 미국과 함께 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차관 도입, 외교력 등이 많이 좌우하는데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친미국가들에는 미국과 손을 잡는 것은 상당한 이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우방 한국원자력산업기술연구조합 이사장은 “원전 수출로 위기에 빠진 서플라이 체인(생산과 공급의 연쇄적 과정)을 복구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한 원전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관계자는 “부품업체는 타 업종보다 빠른 혜택을 받을 것이며 한수원 협력업체 중 Q등급 이상도 해외 진출이 가능하므로 수혜를 받을 수 있다”라며 반겼다.

지역의 분위기는 이번 성명과 관련 미국에서 한국의 원전건설능력을 인정한 것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지배적이다.

업계관계자는 “미국은 핵 안보 차원에서 러시아와 중국 원전이 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견제하고 있으며 서방국가 중 미국과 손잡고 실질적 수출이 가능한 나라는 한국뿐”이라며 “이번 성명은 한국보다 미국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했다”라고 추측했다.

지역의 원전 업계에서는 계약을 체결한 것도 아니고 공동성명에 불과한데 정부가 탈원전으로 변경했거나 원전 르네상스가 온 것처럼 기대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역의 원전 전문가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APR-1400’과 같은 한국형 원전으로 기술 자립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미국과의 협력으로 우리가 얻을 것이 크지 않다”며 “한국의 원자력 전문가 중 미국에서 공부하고 미국에 우호적인 사람들이 많은 것도 이번 공동성명 지지의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부품업체를 제외하면 대부분 지역의 원전업체는 건설, 제염 등 분야에서 고난도 기술이 필요 없는 한수원 협력업체들인데 이들 업체는 해외원전 건설에 진출할 수 없다면서 국내에서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한 이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성명은 정치적 의미는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 원전 업계에 큰 이득은 없을 것이라며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역의 원전 전문가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APR-1400’과 같은 한국형 원전으로 기술 자립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미국과의 협력으로 우리가 얻을 것이 크지 않다”라고 평가했다,

또, “한국의 원자력 전문가 중 미국에서 공부하고 미국에 우호적인 사람들이 많은 것도 이번 공동성명 지지의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원천기술을 가진 미국에 의존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큰데 이것은 대등한 관계로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에게도 이득인 것은 사실이지만 미국이 실질적이고 더 많은 이득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의 원자력 기술은 핵잠수함, 핵항공모함과 같은 군사용이나 우주산업에서 앞서 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 미국이 협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