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산업 규제 해소 위한 제도 마련 논의
지자체 주도형으로 주민의견 수렴하는 경우
REC 가중치 추가 부여 등 다양한 방안 고민”

“지금까지 어려움이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풍력산업은 성장할 일만 남았다는 겁니다.”

박성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풍력사업실장은 “세계적인 석학인 제레미 리프킨은 ‘한계비용 제로사회’라는 책에서 재생에너지를 한계비용이 제로가 되는 산업으로 꼽았다”며 “기존 에너지산업은 2028년을 피크로 사양세에 접어들 것인 만큼 재생에너지는 반드시 가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실장은 지난해 7월 풍력사업실장 자리에 앉아 지난 11개월 간 국내 풍력산업 발전을 위해 힘을 쏟아왔다고 전했다. 이전까지 에너지효율이나 기후변화 등 업무를 주로 해 온 만큼 재생에너지에 대한 이해도 높은 편이다.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풍력 분야에서 국내 시장을 형성하고 성과를 내는 일에 기여하고 싶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부가 천명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풍력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합니다. 당장 시장에 성과가 눈에 띄지는 않지만 짧게는 2~3년, 길게는 4~5년 내에는 풍력도 현재 태양광 만큼 시장이 형성되는 것을 기대합니다. 그때는 시장에 의해 풍력발전소가 보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나 우리 신재생에너지센터가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는 최근 풍력산업이 주민수용성과 규제 등으로 인해 주춤하는 것을 최대한 해소하는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이를 위해 최근 지연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애로사항을 최대한 해소함으로써 본격적으로 보급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풍력 프로젝트만 200개가 넘고 용량으로 따지면 12GW는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 중 절반 정도가 지연되고 있다는 게 지금 큰 문제죠. 이들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몇 개 프로젝트라도 시행될 수 있도록 우선은 물꼬를 트는 게 목표예요. 지연된 게 6GW라고 하면 그중 10%만 살려도 600MW 아니겠습니까. 직원들과 이것들을 최대한 살려보자는 얘기를 많이 하고 있어요.”

이를 위해 풍력사업실은 지난해 육상풍력발전추진지원단을 만들어 여러 프로젝트를 밀착 지원하고, 해양수산부, 환경부, 산림청 등과 풍력산업 규제해소를 위한 여러 제도를 논의함으로써 시장의 애로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그는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 수 있는 제도적 창지가 필요한 만큼 지자체 주도형으로 주민 의견을 수렴케 하는 경우 REC 가중치를 추가 부여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해상풍력 같은 경우도 어업활동과 공존할 수 있도록 해수부나 수협 등과 지속적으로 의논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풍력사업의 큰 벽으로 꼽히는 주민수용성 해소를 위한 홍보대책 마련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풍력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잘못된 인식을 해소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는 생각에서다.

“홍보 측면에서도 신경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주민설명회나 이런 것들을 할 때 풍력발전에 대한 오해를 풀어줄 수 있도록 리플렛과 동영상 등 홍보자료를 제작 중입니다. 아울러 육상풍력발전추진지원단에서도 주민의견 수렴을 위해 현장에서 발로 뛰고 있어요.”

그는 또 “풍력산업은 앞으로 계속 성장할 일만 남았다”며 “풍력산업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것만으로도 큰 보람을 느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