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1호기 200억원, 월성 1호기 200억원 총 400억원 예상
연중 수시로 발주 예정

고리1호기
고리1호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이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원전해체사업 관련 발주를 시작한다.

한수원 내부 계획에 따르면 폐로 대상인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와 관련 설계용역이 내년 상반기부터 수차례 발주될 예정이며 발주 금액은 고리 1호기 200억원, 월성 1호기 200억원 등 총 400억원으로 예상된다.

원전해체와 관련한 사업발주는 처음으로 이번 발주를 계기로 해체산업의 기반을 다지는 것은 물론 해체산업 활성화의 신호탄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 4월 정부가 발표한 ‘원전해체 산업 육성 전략’에 따르면 고리 1호기는 해체 착수 이전이라도 조기발주가 가능한 부분을 최대한 발굴해 원전기업의 해체수요를 창출키로 했다. 또 원전해체 생태계 기반 구축을 위해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을 육성키로 했다.

한수원의 해체사업 본격화에 대해 원전지역에 있는 기업들은 반기는 분위기지만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참여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설계용역은 대기업이 낙찰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한수원이 원전해체 인허가를 승인받는 2022년 이후가 돼야만 중소기업이 해체 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실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2018년 12월 기준으로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미국 16기, 독일 3기, 일본 및 스위스 각 1기 등 총 21기다. 설계 수명 완료 원전의 증가로 2020년대 중반부터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 규모는 2017년부터 2030년까지 123조원, 2031년부터 2050년까지 204조원, 2051년 이후에는 222조원 등 총 549조원까지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가 에너지기술평가원을 통해 지난 9월 발표한 원전산업 R&D 로드맵(Nu-Tech 2030)에 따르면 ▲설계 인허가에서는 해체 공정 설계인허가 대비 필수 기술 자립 95% 이상 ▲제염에서는 해체 작업자 피폭 선량 허용기준 1mSv/년 이하로 유지 ▲원전해체 동안 작업자 방사선 초과 피폭 및 주변 오염물질 확산 차단 ▲폐기물관리에서는 해체 원전당 방폐물 물량을 1만4500드럼 이하로 유지 ▲부지복원이후 유효선량을 연간 100uSv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근거로 한수원이 발표한 경수로 3차 원전해체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르면 11월 기준으로 51개 기술 확보가 완료됐으며 오는 2020년까지 54개 기술을 확보하고 2021년 말까지 58개 기술을 확보해 선진국 대비 95% 수준의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원전해체연구소가 아직 착공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수원의 로드맵에 따라 기술을 개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또 국내 규제기관에서도 해체 관련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한수원이 해체를 신청하더라도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심사를 신속히 완료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