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대비 스마트부품산업 육성 정책 세미나’

23일 열린 4차 산업혁명 대비 스마트부품산업 육성 정책 세미나에서 김경수 의원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23일 열린 4차 산업혁명 대비 스마트부품산업 육성 정책 세미나에서 김경수 의원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부품 산업 육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혁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첨단측정장비연구소장은 23일 열린 ‘4차 산업혁명 대비 스마트부품산업 육성 정책 세미나’에서 “스마트부품은 4차 산업혁명 환경에서 각 산업별 특성, 적용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의 융합을 통해 지능화된 부품”이라며 “산업의 경계를 넘어 각 부품 간 유기적인 협업을 지원해 부품의 대규모 연결성과 특정 부품 간 조직화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디지털 유기체 생태계(IDOE)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스로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스마트부품 4.0’은 핵심 요소로 볼 수 있다”며 “근시안적인 ‘트렌드 팔로잉(Trend Following)’식의 접근으로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데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부품4.0’ 육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스마트부품4.0 육성을 통해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부품수입대체는 물론이고 전통적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 글로벌 가치사슬연계 부가가치 창출, 공통핵심소재 개발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 산재 등 피해비용 절감, 신규 일자리 창출, 기술가치 확보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

이 소장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도출된 스마트부품4.0은 신기술·산업 등장을 가속화하고, 산업전반의 지능화·자동화·효율화와 함께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초고부가가치 차세대 부품”이라고 강조했다.

세미나에서는 이어 우리나라가 스마트 기술 분야 아시아 허브로 도약하려면 글로벌 공동연구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봉훈 한양대 글로벌R&D센터장은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선진국뿐 아니라 아시아 개발도상국까지 각국이 운영하고 있는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을 살펴보고, 글로벌 공동연구 모델을 제안했다.

김 센터장은 “미국은 과학기술협력을 통해 자국 과학기술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강화하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행하고 있다. 해외유출 가능성이 있는 첨단기술에 대한 보호정책도 시행하고 있다”며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도 과학기술 개발에 있어 외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적극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국제과학기술협력에 관한 부처 별 규정 등을 통합해 글로벌 시대에 맞게 법으로 상향해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며 “체계적인 지원과 정책 방향 제시가 필요하며, 선진국 유명연구단지, 연구소 위주의 정책을 다변화해야 한다. 특히 아시아 기술 허브를 위해 선진국-아시아 신흥개도국 연계 방안에 따른 국제과학기술 공동연구센터나 집적생산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한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주최하고 김경수 국회의원이 주관한 이날 세미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스마트부품산업 육성정책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김경수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첫 번째 화두는 연결성이다. ICT 발달과 사물인터넷의 확대, AI·빅데이터의 융합으로 산업현장과 인류 삶의 방식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며 “이 같은 변화는 스마트부품산업의 발전이 주도하고 있다. 첨단센서, 초경량배터리, 초저전력통신 등 스마트부품이 사용된 제품으로 구현돼 상상 속의 세상을 실현해내고 있다. 우리가 스마트부품산업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