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이 가열될 만큼 가상화폐 거래가 핫이슈로 떠오르면서 가상화폐를 얻는 ‘채굴(Mining)’ 과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채굴’은 컴퓨터로 복잡한 연산문제를 풀 경우 주어지는 보상(가상화폐)을 얻는 행위를 뜻한다. 비트코인을 캐는 사람을 ‘광부’라고 부르는 이유다.

연산문제가 어렵기 때문에 채굴 작업에는 고성능 컴퓨터가 투입된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에 따르면 채굴작업의 58%는 중국에서, 16%는 미국에서 이뤄진다. 또 국내에서도 채굴기 단위로 투자를 받아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업체가 존재한다.

최대 2100만개로 발행량이 한정된 비트코인은 현재 1600만개가량이 채굴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채굴 작업에 소요되는 전력 사용량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다.

블룸버그 신에너지 금융연구소(BNEF)에 따르면 지난해 비트코인 채굴에 소모된 전력량은 20.5TWh다. 이중 중국 업체들이 지난해 사용한 전력량은 15.4TWh에 달한다.

중국 정부가 최근 저렴한 전기요금 때문에 가상화폐 채굴 업체가 몰리는 신장위구르와 네이멍구 등을 대상으로 ‘채굴 업체 폐쇄명령’을 내린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현재 비트코인 한 개를 채굴하는 데 약 3000~7000달러(약 320만~745만원)의 전기료가 소요된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중국 업체들은 전기료가 저렴한 캐나다, 스위스 등지로 채굴 공장을 옮기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상화페 채굴에 막대한 전기가 소모되자 산업용 전기요금을 적용받는 서버룸, 산업단지 공단 등에 채굴장을 두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강원도는 안정적인 전기공급뿐만 아니라 방열을 위한 낮은 기온, 수도권과의 접근성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으면서 새로운 채굴공장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산업용 전기요금은 기업체의 산업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와 한전이 마련한 것으로, 가상화폐의 ‘채굴’ 과정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 필요성 문제를 떠나 채굴 작업에 산업용 전기요금이 적용되는 현상만큼은 실태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말 많고, 탈 많은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과정에 사실상 국민들이 원가 차이를 보조하는 산업용 전기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