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업체 보호명목’ 확대 제한적, 서버업체가 주도권 잡아
비용 및 에너지절감 등 위해 시장주도권 지자체에 넘겨야

가로등 제어반의 서버와 양방향 무선통신 제어기를 연계하는 ‘오픈 프로토콜’을 확산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0여년 가까이 가로등 제어반 업체와 지자체 간 커넥션으로 독과점 양상을 띠었던 서버 개방 문제도 이제는 ‘자유화’가 필요하다는 논리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지자체들은 가로등 점·소등은 물론 고장 등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일몰·일출 시 신속한 조치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가로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을 확대하는 추세다.

이를 위해 중앙관제용 서버와 양방향 제어기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오픈 프로토콜은 가로등 자동점멸기 제어반 서버의 프로토콜을 개방해 양방향 제어기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 용어다.

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상위권 업체들이 가로등 제어반 서버와 양방향 제어기 시장을 독과점 해왔다. 이들 업체가 서버 프로토콜을 풀지 않으면 다른 기업의 양방향 제어기를 설치할 수 없는 시장구도였다.

모 지자체에서 A사의 가로등 제어반 서버를 도입했다면 양방향 제어기도 그 회사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것. 시장주도권이 지자체가 아닌 업체에 있었던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모 업체의 경우 1000만원~2000만원 짜리 서버를 공짜로 주고, 대신 양방향 제어기를 계속 공급하는 영업전략을 썼다”면서 “양방향 제어기의 영업마진이 좋기 때문에 금세 서버 금액을 뽑고, 나머지 기간 동안 이익을 취해왔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가로등 제어반 업계에 ‘오픈 프로토콜’을 도입한 게 바로 광주광역시다.

광주광역시는 2010년 처음으로 대학에 의뢰해 가로등 제어반 양방향 제어기의 오픈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한 업체를 통해 양방향 제어기를 공급하면서 프로토콜을 개방했다.

정효국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 설비1과장은 “가로등은 무선으로 원격제어를 통해 점·소등이나 유지관리를 하는데 양방향 제어기는 회사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여러 회사 제품을 쓸 수 없다”면서 “그래서 특정회사 제품을 쓰면 나중에 확장, 증설을 할 때 타 회사 제품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독과점 문제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그래서 오픈 프로토콜을 추진했는데, 그 결과 당초에는 양방향 제어장치 값이 고가였지만 점차 하락해 지금은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조달청도 오픈 프로토콜을 확대하고 있다.

조달청은 최근 관제시스템 서버를 구매할 때 수요기관(지자체)이 정당한 사유서를 통해 요구하는 경우 해당업체는 프로토콜(통신규약)과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호환, 사후관리 등 정당한 권한을 주도록 규정하고 있다. 오픈 프로토콜 활용을 명문화한 것이다.

이 같은 가로등 제어반의 오픈 프로토콜은 명목상 여러 지자체로 퍼져 나가는 모양새지만 속도는 생각보다 더딘 상황이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기존 업체와의 커넥션이다.

국가 차원에서도 통신규약 등을 공유하도록 권장을 했지만 ‘관내업체 보호명목’으로 한계에 부딪혔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업체 관계자는 “지자체에서 프로토콜을 오픈했다고 해서 사정을 알아보면 A사의 서버를 쓰면서 오픈 프로토콜을 하고, 여러 업체의 양방향 제어기를 도입했는데, 실제로는 간단한 조작만 가능할 뿐 호환에 문제가 생겨 결국 담당자가 A사의 양방향 제어기를 구매하는 식이었다”면서 “이처럼 요즘에는 가로등 제어반 업체들이 지자체별로 다른 경쟁사를 못들어 오게 하거나 전략적으로 오픈 프로토콜을 도입하는 등 변칙적인 영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가로등 제어반에 대한 오픈 프로토콜을 도입하기 위해선 지자체가 개발비를 들여 서버를 개발하고, 관리자를 두면서 관리를 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런 여건이 안 돼 업체들에 끌려 다닐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신기술, 신제품이나 특허조차도 5년에서 10년이면 우대혜택이 없어지는데, 가로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은 20여년 가까이 생산업체가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다”면서 “이제는 오픈 프로토콜을 통해 지자체가 원하는 양방향 제어기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