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태양광발전소에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하려는 사업자들이 늘고 있다. 정부에서 지원금을 늘린 까닭이다.

기존에는 태양광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ESS에 저장했다가 비상시에 사용했다면 이제는 이렇게 모은 전기를 한전에 팔면 더 많은 수익이 생긴다. 이 때문에 농어촌의 새로운 먹거리로, 직장인들의 재테크 수단으로 인기를 얻은 태양광이 ESS 연계 사업으로 다시금 활기를 띄고 있다.

기자가 태양광업계를 취재한 결과 수많은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이 ESS 설치를 추진하거나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업체나, ESS 제조사들도 덩달아 바빠졌다. 관련 업계가 들썩이는 이유다.

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전기안전관리자 제도가 이 같은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진 않을까 걱정된다. 1MW 이하의 태양광발전소는 전기시설에 대한 안전업무를 전문가에게 맡길 수 있으나 ESS를 통해 한전에 전기를 팔게 되면 상주 안전관리자를 고용해야 한다.

상주 관리자를 고용해야 하는 발전사업자 입장에선 부담 비용이 크게 작용, ESS 설치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전북 김제에서 100kW 태양광발전사업을 하는 A씨는 최근 정부 방침만 믿고 ESS를 설치했다가 관련 기관에서 대행사업자를 허가해줄 수 없다는 얘기를 들었다. 설치비용만 날린 셈이다. 들리는 말로는 A씨는 수익이 남지 않더라도 상주 안전관리자를 고용하려 했지만 열악한 설치환경 때문에 이마저도 사람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 현장에 ESS를 납품한 업체도 난감해졌다. 이번 실적을 바탕으로 추가 수주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의뢰한 고객들이 주저하는 분위기라 허탈감만 깊어졌다.

이는 안전관리자에 대한 현실성 있는 제도 마련 없이 보급 위주의 정책이 만들어낸 결과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문제해결을 위해선 법률 개정만이 답이라는 원론적 답변만 내놓고 있고, 다른 대안은 없어 보인다. ‘골든타임’이란 말은 안전 분야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때를 놓친 규제해소는 다시금 활기를 찾은 ESS 산업을 얼어붙게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