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주 사업 저가 수주로 출혈…기존 제품 유지 보수 미흡 지적

제주도 내 전기차 공용충전기. 사진=이근우 기자
제주도 내 전기차 공용충전기. 사진=이근우 기자

<글 싣는 순서>

충전서비스 전기車 보급 암초되나 ①관련 규제 오락가락…통계도 깜깜

충전서비스 전기車 보급 암초되나 ②입주민간 新갈등요소로 떠올라

충전서비스 전기車 보급 암초되나 ③투자는 하지만…수익성은 의문

전기차 충전 사업이 과연 수익성이 있는지 의문이 업계 이곳저곳에서 나오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충전사업자는 올해부터 8개(대영채비, 에버온, 지엔텔,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KT, 파워큐브, 포스코ICT, 한국전기자동차충전서비스)로 늘었는데 민간 사업자들의 적자 상태는 여전히 나아지지 않고 있다.

심지어 정부가 발주하는 전기차 충전 사업의 경우 여전히 저가 수주 경쟁이 성행하고 있어 민간 입찰 쪽으로 눈길을 돌리는 업체도 나온다. 가격을 맞출 수 없다 보니 성능·안전 개발을 멈추고 있는 제조사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충전기 시장은 저가 수주로 인한 출혈 때문에 더 이상 정부 보조금으로 사업을 이어가는 시대는 끝났다고 봐야 한다”며 “건설사, 통신사 등과 협업해 신규 건축물에 들어가거나 기존 사업과 융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향을 모색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들 사업자는 터무니없이 낮은 충전 요금으로 인해 수익성에 대해서도 걱정하고 있다. 예전보다 전기차가 늘긴 했지만 이익을 낼 만큼 차량 대수가 많지 않아 수년째 적자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개방형 급속충전기의 이용 요금은 1kWh당 173.8원으로 매우 저렴하다. 산업부가 전기차 보급 확대 차원에서 한전의 공급 가격을 절반으로 내리고 기본요금도 없앤 덕분이다.

업계는 적어도 400원은 돼야 고객 수요와 수익성 등을 고려한 충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기차 보급 확대 차원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공감하고는 있으나 충전 사업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싸게 많이 판다’는 전략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내다봤다.

반면 일각에서는 제주도의 경우 고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소는 하루 14시간씩 돌아가기도 한다며 충분한 수익 모델이 되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물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전기차 비중이 전체의 3% 이상이 돼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제주도는 현재 무료로 운영되고 있는 개방형 전기차 충전기 919기 가운데, 도가 직접 운영하는 294기를 내년부터 유료화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내년 초 제주도에 전기차 검사소를 신설하기로 했다. 전기차용 점검기도 개발하고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정밀 검사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는 등 늘어나는 친환경차 수요에 대응한다는 각오다.

이외에도 전기차 이용자들은 충전소 유지·보수 등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전기차 천국이라고 불리는 제주도에서도 고장난 기기들이 10개 중 2~3개 비율로 있었다.

사업자가 충전기 설치 이후 인력 부족이나 금액적인 이유로 제대로 된 관리를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자 제주전기택시모임이나 환경공단 서포터즈 등 이용자들이 직접 나서 충전기 정보 수집, 위치 안내, 고장 신고, 주변 환경 미화 등 봉사 개념으로 일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