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봉 교수, 남북경협 확대 대비한 단기대책으로 제시
한수원 등 남북 경협 대비한 조직 신설 등 대응책 마련 분주

최근 남북 대화로 조성된 북미 간 회담결과에 따라 남북경협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북한과의 전력연계를 위해선 남북접경 지역에 가스발전소를 건설하는 게 최선의 방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사단법인 에너지미래포럼(대표 이재훈) 주최로 쉐라톤서울팔래스강남에서 열린 포럼에서 조성봉 숭실대 교수(자원경제학회 회장)는 “남북경협 확대와 북한의 전력난 해소를 위해선 북한과의 전력계통 연계가 중요하다”며 “다만 북한의 전력계통은 크기도 작고, 매우 취약해 단기적으로는 남북접경 지역에 가스발전소를 건설하고, 여기서 만든 전기를 북한에 보내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북한을 경유해 러시아산 가스를 PNG로 가져오고, 남한에서 북한으로 전기를 보내면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상호 협력할 수밖에 없게 된다”며 “북한 내에 직접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국내에 대용량 석탄발전소를 건설하는 것보다는 가스를 연료로 한 중규모 발전소를 건설해 북으로 보내면 전력계통에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 교수는 “북한의 계통상황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는 휴전선 근처에 가스발전소를 건설해 계통을 연계하면 리스크와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북한에 직접 발전소를 짓거나 북한의 송전계통을 보강해 남북 간 계통망을 연결하는 방안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남북은 동해선·경의선 등 남북철도 연결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철도를 연결하려면 전기 공급이 필수적이지만,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남한의 1/14 수준인데다 주요 에너지원인 수력과 화력발전소가 워낙 노후화돼 신규 발전소 건설이나 현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북한 에너지 인프라 건설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서해안과 동해안 지역에 발전소를 건설해서 송전선로를 통해 북으로 보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고, 또 다른 일각에서는 북한지역에 수력이나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때문에 발전회사를 비롯한 공공기관들은 남북 경협 본격화에 대비한 조직 신설과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발전사 중에서는 한수원이 가장 먼저 남북 경협 전담 TF를 만들었다. 한수원은 수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분야 등에서 북한과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른 발전사들도 관련 조직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북한과의 전력연계를 위해 송전망을 고려한 발전소 건설과 노후 발전소의 O&M 및 성능개선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들도 남북경협과 전력계통 연계에 대비한 사업 구상에 들어갔다. 건설사들의 경우 서해안과 동해안 등에 신규발전소를 건설해 북쪽으로 전력을 보내는 방안이나 직접 북한 지역에 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로펌들도 철도와 도로, 가스관 등 사회기반시설에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 착안해 북한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법무법인 태평양이 대표적으로 지난 2002년 신설한 북한팀을 최근 남북관계팀으로 확대 개편하고, 실력 있는 전문가를 대거 배치해 사업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