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발전, 제3기 디지털 혁신 추진위원회 성과발표회 개최

디지털 혁신으로 AI 대전환(AX) 가속화

2025-11-26     정세영 기자
디지털 혁신 추진위원회 성과발표회 참석자들이 지난 10월 ‘2025 중부발전 지능형 로봇 챌린지’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해 대통령상을 받은 ‘수소 화합물 감지 2족 보행 로봇’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중부발전]

중부발전이 발전산업의 인공지능 대전환(AX)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점검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6일 한국중부발전(사장 이영조)은 25일 ‘제3기 디지털 혁신 추진위원회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광일 중부발전 기술안전본부장을 비롯해 한국로봇학회, 한국블록체인학회,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한국인공지능학회 등 국내 주요 학회장과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했다.

디지털 혁신 추진위원회는 지난 2017년 4차 산업혁명 추진위원회로 출범한 이래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중부발전의 기술 변화를 주도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혁신기술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왔다.

이날 참석자들은 2025년 추진한 중부발전 고유의 ‘에이전틱 AI’ 개발 실적을 공유하고 중장기 AX 추진전략과 발전산업 AI 혁신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행사에 앞서 진행된 특별강연에는 이지형 한국인공지능학회 학회장이 ‘AI 시대의 대전환’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학회장은 에너지 산업 내 AI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발전소 운영 패러다임 변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참석자들의 큰 공감을 얻었다.

중부발전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AI정책 기조에 발맞춘 기술개발 전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중부 고유 생성형 AI 고도화 ▲AI 기반 예측정비 시스템 강화 ▲발전소 맞춤형 피지컬 AI 기술개발 등을 중점 과제로 선정해 발전산업 전반에 AI 도입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김광일 중부발전 기술안전본부장은 “중부발전은 향후 발전소 운영의 전 단계에서 AI 기술을 활용하는 차세대 발전소 운영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문학회들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부발전은 디지털 혁신 추진위원회를 통해 발전산업의 AI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것은 물론 기술개발 과정에서 산학연 협력을 활성화해 민간 분야와의 AI 기술 격차 해소와 동반 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