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건기 통상교섭실장 “글로벌 통상환경의 거센 변화…에너지 전략도 재설계해야”
제79차 에너지밸리포럼서 G2 경쟁·공급망 재편 대응전략 강조 기술·자원·안보 삼중 압력 속 통상·지역 에너지산업 방향 제시
“보호주의와 공급망 블록화가 일상이 된 지금, 에너지 전략 역시 기술·자원·안보가 엮인 통상환경을 기준으로 새롭게 짜야 합니다.”
글로벌 통상환경이 보호주의 확산과 공급망 재편으로 빠르게 요동치는 가운데, 광주·전남 에너지산업계가 변화의 흐름을 짚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에너지밸리포럼(대표 문재도)은 최근 한국광융합산업진흥회 (회장 윤경모)와 공동으로 노건기 산업통상부 통상교섭실장을 초청해 ‘글로벌 통상환경과 에너지’를 주제로 제79차 정례포럼을 개최했으며, 광주광역시·전라남도·나주시 관계자를 비롯해 한국전력, 한전KDN, 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 해양도시가스 등 지역 에너지 공기업과 민간기업 임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강연에서 노건기 실장은 최근 통상환경을 ‘보호주의가 구조화되고 다자체제가 약화되는 시대’로 규정하며, 미국의 대중 관세 강화와 중국·일본·EU와의 협상 방향 등 주요국 정책 변화가 한국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다.
노 실장은 특히 미·중(G2) 경쟁이 기술·자원·안보 영역으로 확산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의 블록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첨단산업 중심의 기술 네트워크 블록화와 핵심광물·에너지 공급망을 둘러싼 지경학적 갈등, 그리고 G7+α와 BRICS+α로 나뉘는 지정학적 진영화가 한국 산업과 에너지정책에 미칠 파장을 강조했다.
노 실장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국의 핵심광물 수출통제 강화와 미국의 첨단기술 규제가 한국 기업에 직접적인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며, “기존 통상정책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다자무역체제의 기능 약화와 미국·EU 중심의 신통상 규범 부상을 지적하며, 한국이 높은 G2 의존도와 반도체·자동차 중심의 수출 편중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품목·콘텐츠’로 이어지는 3대 다변화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지역별 편중을 줄이고, 새로운 품목을 통해 수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K-콘텐츠 등 한국에 우호적인 국제 분위기를 활용해 글로벌 시장을 넓혀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그는 “통상정책과 에너지정책은 이제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하나의 정책 패키지로 움직여야 한다”며, 에너지 자원수급 안정, 기후변화 대응, 산업경쟁력 강화, 공급망 협력, 국제 기술표준 선점 등 모든 에너지 정책 요소가 통상환경 변화와 직결돼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에너지산업이 단순한 기술·설비 경쟁을 넘어 국제 통상질서에 적응하고 전략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메시지로, 참석자들은 강연이 끝난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글로벌 공급망 변화가 기업 현장에서 체감되는 어려움과 직결돼 있다며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받았다고 평가했다.
이번 제79차 포럼은 기술·자원·안보가 얽힌 다층적 공급망 위기 속에서 한국형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지역 에너지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에너지밸리포럼은 앞으로도 지역 산업계가 국제 시장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질적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례포럼의 기능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