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NDC 달성,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 등 고민 많아진 전력정책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53~61%’로 설정했다. 이는 2018년 순배출량(7억4230만t) 대비 53% 감축 시 2035년 배출량이 3억4890만t, 61% 감축 시 2억8950만t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의미다.
당장 산업계는 물론 전력부문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가장 큰 감축이 요구되는 전력(발전) 부문은 2018년 순배출량 대비 최대 70%대 감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석탄발전 축소를 통해 최소 68.8%에서 최대 75.3% 수준까지 배출량을 줄일 계획이다. 석탄화력이 큰 폭으로 줄어드는 대신 재생에너지 확대는 불가피하다.
우리나라는 제11차 전기본에 따라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2024년 약 9%에서 2030년 21%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에 확정된 NDC를 맞추려면 12차 전기본에선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우려되는 것은 변동성 전원인 재생에너지 확대가 가져올 전력망 운영 등 전력 수급의 안정성이다. 재생에너지의 한계는 명확하다. 변동성이다. 재생에너지가 늘면 늘수록 전체 수급에서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는 국가적 과제다. 지난 4월 발생한 스페인 대정전은 좋은 선례를 남겼다.
사고 조사를 마친 유럽 송전시스템 운영자 네트워크(ENTSO-E)은 일차적으로 계통 운영자의 관리부실 책임이 있지만, 이면에는 인버터 기반 재생에너지 확대가 유발한 전력 계통의 관성 부족·전압 불안 등의 근원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다시 LNG발전에 주목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EU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48%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잡았지만 동시에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높은 영국·독일·이탈리아 등은 LNG 발전소 신규 건설이 예정돼 있다.
LNG 발전이 점점 줄어드는 것 같지만, 동시에 백업 전원으로는 더 중요해지고 있는 이중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역할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기저전원에서 ‘필요할 때 돌리는 전원’으로의 전략적 중요도는 오히려 커지고 있다. 덩달아 세계 가스터빈 시장은 때 아닌 호황을 맞고 있다.
GE, 지멘스, 미쓰비시 등 주요 제조사는 밀려드는 주문량을 맞추기 바쁘다. 후발 주자인 국내 기업도 앞으로 3년치 이상 물량을 수주했다고 한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발맞춰 유연성 전원으로써의 역할과 데이터 센터 확대 등으로 갑자기 증가하는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한 전원으로 LNG발전은 역할을 새롭게 찾아가고 있다.
우리도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국가적 명제에 집착해 정착 중요한 전력공급 안정성을 소홀히 하지 않았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NDC 달성이란 목표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CO2배출량 줄이기 위해 분주하겠지만, 전력공급의 기본 원칙중 하나인 안정성도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