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4·6호기 낮 12시 발파…해체 후 70명 투입해 구조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실종자 수색을 위한 인근 4·6호기 발파·해체가 11일 낮 12시에 진행된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중앙사고수습본부장)은 이날 오전 현장 브리핑을 열고 "4·6호기 발파에 필요한 안전 진단을 실시했고 발파 장소 인근 반경 1㎞ 내 위치한 기관에 통보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발파 대상은 사고로 무너진 보일러 타워(5호기) 양옆에 서 있는 4호기와 6호기다.
4호기와 6호기는 현재 취약화 작업(발파 시 한 번에 쉽게 무너지도록 철골 구조물과 기둥 등을 미리 잘라 놓는 것)이 완료됐으며, 폭약도 설치돼 있다.
발파는 목표한 방향으로 붕괴를 유도하는 '지향성 발파'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발파 성공의 핵심은 4·6호기가 현장에서 볼 때 바다와 반대쪽으로 넘어지면서 5호기 잔해 쪽을 피하는 것이다.
발파 성공이 확인되고 분진 방호 등 안전화 작업이 완료되면 오후 2∼3시부터 소방 당국은 본격적인 구조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먼저 5호기 잔해 상판 끝부분을 400t 크레인으로 고정한 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 후 잔해 하부를 잘라가며 공간을 확보해 수색·구조 작업을 진행한다.
이 작업에는 소방 수색·구조 전문가로 구성된 8개 팀 70여 명과 민간 해체전문가를 비롯해 첨단 장비가 동원된다.
구조 대상자는 총 4명으로 위치가 확인된 사망 추정자 2명과 아직까지 위치를 알 수 없는 실종자 2명이다.
사망 추정자 중 1명은 6호기 쪽 방향 입구에서 약 3∼4m 떨어진 지점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지점은 빔 절단기를 이용해 구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나머지 1명은 4호기 쪽 방향 입구에서 4∼5m 지점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점은 구조물 하중이 집중돼 있어 고중량 철골 구조물부터 절단하고 해제해 진입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