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제1차 기후변화감시예측 기본계획’ 확정

10일 제5차 탄녹위 전체회의 심의 통과 과학 기반 기후위기 대응체계 구축…예측기간 10년까지 확대

2025-11-10     차기영 기자
기상청 전경

기상청이 과학적 감시·예측 기반의 기후위기 대응 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한다.

기상청(청장 이미선)은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기후부 등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수립한 ‘제1차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본계획(2025~2030)’이 10일 열린 제5차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첫 국가 기본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탄소중립·녹색성장 사회로 나가기 위한 정부 정책의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상청은 이를 위해 ▲기후변화 감시체계 고도화 ▲예측정보 강화 ▲감시·예측정보 공동활용 및 서비스 확대 ▲국제협력 및 국민 인식 확산을 4대 추진 방향으로 제시했다.

먼저 지상 중심의 감시망을 위성·항공기·선박 등 3차원 체계로 확대하고, 기존 이산화탄소·메탄 외에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할로겐화물 감시를 추가한다.

또한 세계기상기구(WMO)와 유네스코 등이 운영하는 전지구기후관측체계(GCOS)가 권장하는 핵심 기후변수를 반영해 국내 실정에 맞는 약 100개의 ‘한국형 핵심 기후변수(기온, 강수량, 해수면온도, 온실가스 농도 등)’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제 수준의 기후감시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예측 부문에서는 독자 기술 기반의 ‘국가기후예측시스템’을 개발해 기존 1~3개월 단기 전망을 최대 10년 단위까지 확장한다. 기후변화 정부간협의체(IPCC)의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경로를 반영한 국가 표준 시나리오도 새로 제공하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후예측기술로 각 분야의 적응 정책을 지원한다.

생활 밀접 분야에 대한 감시·예측도 강화한다. 농수산물 생산 변화, 산불·산사태 예측, 도심 홍수·가뭄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일사량·풍속 예보의 정밀도를 높인다.

이와 함께 기후과학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 기후변화 감시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감시·예측 자료를 종합적으로 관리·분석·서비스할 수 있는 공동활용체계 기반을 마련한다.

국제적으로는 IPCC, WMO 등 기구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해 한국형 감시체계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UN기후변화협약(UNFCCC)에 관련 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국제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아울러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기후변화과학교육사 양성기관 지정, 체감형 콘텐츠 개발, 미래세대 교육 강화도 추진한다.

이 기본계획은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과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등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과학적 근거로 활용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국민 안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선 기상청장은 “지금 우리는 기후위기로 인해 매 순간 일상생활을 위협받고 있고, 이 위협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이번에 수립된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국민과 재난관리기관, 지자체가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정밀한 감시와 예측정보를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