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F 2025] 진단부터 제도 반영까지...에너지공단, 亞 탈탄소 실행모델 앞장
디지털 진단 기반 국제협력으로 제도·역량 이전 성과 스리랑카·우즈벡 등서 정책·기술·교육 포괄한 지속모델 구축 “진단 발굴 성과, 효과 지속 위해 각국 제도 내재화 필요”
“산업부문 탈탄소는 다량의 데이터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가능한 절감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실제 에너지 효율화·탄소저감 성과로 잇기 위해 진단부터 실제 사업 운영까지 모든 단계의 글로벌 이해관계자가 협력해야 한다.”
최석재 한국에너지공단(KEA) 에너지진단실장은 지난 4일 마닐라에서 열린 ACEF 심층 워크숍(‘청정에너지를 향해 :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글로벌 협력 및 혁신 가속화’)에서 이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이날 최석재 실장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화한 공단의 디지털 진단 체계와 실제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에너지 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공단이 공공기관으로서 디지털 진단체계를 활용해 국제사회에 기여하고,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함께 아시아 지역 내 탈탄소화를 주도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제안했다.
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국제 협력을 통한 실적도 꾸준히 축적하고 있다. 최근 우즈베키스탄에는 ▲이론교육 ▲현장 진단 ▲장비 운용 ▲보고서 작성 ▲국내 현지 방문을 포함한 교육체계를 제공했고, 베트남과도 다년간의 진단 협력 성과를 쌓은 바 있다. 공단은 향후 산업부문 탄소감축 수단으로서 에너지진단을 통한 탈탄소화를 디자인하고, 국내외 이해관계자와 협력해 실제 사업으로 결실을 맺는다는 복안이다.
최 실장은 “그간 공단이 확보한 풍부한 실적을 바탕으로 국제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다만 진단을 통해 발굴한 절감 요인이 초기 컨설팅 단계에 그치지 않고 각국의 제도에 내재화될 수 있도록, 제도 설계와 실행 역량까지 함께 이전해야 실질적인 탈탄소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저우 에이밍 ADB 중국 상주 대표부 부국장은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격언을 인용하며, 공단이 구축한 국제협력이 단순한 기술지원 수준을 넘어 아시아 지역의 제도 설계와 공공역량 구축에 실질적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저우 부국장은 “많은 국가들이 재원을 확보하고도 정책 설계나 실행 역량이 부족한 사례가 많다”며 “에너지공단은 지속가능한 협력 구조와 공공부문 역량 향상을 지향하며, 협력 국가의 간극을 메우는 드문 파트너”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공단이 추진한 산업부문 에너지진단과 스리랑카 협력 모델을 ADB 내 다른 국가사업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모범사례로 보고, 향후 네팔, 캄보디아 등지로 협력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협력성과는 ADB가 공단을 ‘에너지 효율분야 전문기관(Center of Excellence)’으로 지정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CoE는 역내 에너지 전환의 거점기관 협력모델로 ▲정책 자문 ▲교육 ▲제도 수립 ▲시범사업까지 공공역량 강화 솔루션을 포괄 이전하는 체계다.
김윤성 에너지와공간 대표 역시 한국의 해상풍력 특별법(해풍법) 사례를 들어, 제도에 기반한 논의가 국제협력의 성공을 판가름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해풍법 입지 사전협의제, 주민이익공유제 등 제도적 장치를 도입해 공공-민간-지역사회 간의 합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김 대표는 “해상풍력은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동시에, 주민 수용성과 환경규제 등 사회적 요소가 얽힌 고난도 사업”이라며 “법 제도와 절차설계의 정합성이 사업 성공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공단과 스리랑카가 수행한 협력 사례도 조명됐다. 공단은 2011년부터 스리랑카 에너지효율 정책 수립을 지원해 왔고, 최근에는 공조기 시험소 설치와 에너지라벨링 제도 구축까지 정책 체계를 수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1400GWh의 전력절감과 96만t 이상의 CO₂ 저감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르샤 위크라마싱헤 스리랑카 지속가능에너지청(SLSEA) 부청장은 “2011년 공단이 참여해 0.5MW 규모로 시작했던 스리랑카 내 태양광발전소는 현재 2GW 이상으로 불어났다”며 “그 배경에 정책 공동 설계에 기여하며 방향을 제시한 에너지공단의 역할이 있다”고 평가했다.
사샤 오포와 독일국제협력공사(GIZ) ‘동남아시아를 위한 깨끗하고 저렴하며 안전한 에너지(CAES)’ 프로젝트 책임자도 공단의 모델이 에너지전환의 지속성과 파급력을 높이는 효과에 주목했다. 오포와 담당관은 공단과 함께 CAES 프로젝트를 주관하며 정책 연구, 시나리오 모델링, 시민사회 연계, 기술지원 등을 동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