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 분산특구 컨소 구성으로 지역 에너지전환 본격화
전라남도 영암군은 지난 8일 군청 2층 낭산실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공모사업’ 추진을 위한 컨소시엄 협약식을 개최하고, 지역 주도의 에너지전환 모델 구축을 위한 공식적인 첫발을 내디뎠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 중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사업’에 참여 중인 영암군이 실증사업의 추진력을 강화하고, 컨소시엄 참여기관 간의 협력 의지를 공식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공모사업 접수를 완료한 영암군은 현재 실무위원회 평가를 앞두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실질적인 실행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날 협약에는 영암군을 비롯해 영암군에너지센터(사단법인 사회혁신포럼), EIPGRID, 한전KDN, MC에너지, LS일렉트릭, 국립목포대학교, 한국전기연구원 등 총 8개 기관이 협약 당사자로 참여했다. 참여기관들은 기술과 정책 역량을 바탕으로 실증사업의 핵심 분야에서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Self-DR 기반 수요반응 실증’과 ‘공공형 VPP(가상발전소) 플랫폼 구축’을 중심으로 한 실증 중심의 컨소시엄 구조이다.
참여기관들은 AI 기반 수요 예측, 실시간 전력 거래 시스템, 데이터 공유, 주민참여형 인센티브 설계 등 기술과 제도가 융합된 실증 모델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영암군은 대불국가산단과 삼호읍 일원을 중심으로, 산업 수요지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의 특화지역을 설계했다. 자가발전과 수요자원 연계를 통해 분산형 전력망을 구축하고, 에너지 절감 및 생산에 기여한 주민에게는 지역화폐로 환급되는 인센티브 체계를 마련해 지역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의 기반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에너지전환의 이익이 지역 주민에게 실질적으로 환원될 수 있도록 설계했고, 주민은 전기 소비 패턴 개선이나 수요반응 프로그램 참여만으로도 일정한 수준의 기본소득 혜택을 지역화폐로 받을 수 있게 된다.
국립목포대학교와 한국전기연구원은 지역 내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과 실증데이터 분석, 기술 자문을 수행할 계획이다. 영암군에너지센터는 주민 수용성 확보 및 참여 확대를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EIPGRID는 VPP 플랫폼 기술과 지역화폐 연계 인센티브 구조를 설계하고, 한전KDN은 에너지 데이터 통합 관리 및 계통 유연성 분석을 담당한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지역민이 에너지전환의 주체가 되고 수혜자가 되는 구조로 나아가기 위한 실질적인 첫걸음”이라며 “우리 군은 분산에너지 실증을 넘어, 지역화폐와 연계된 에너지 기본소득 시스템을 구현해 주민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가는 분산형 전환모델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과 주민이 함께 이익을 나누는 통합적 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지방정부 주도의 에너지 전환 표준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사업은 지난해 6월 14일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도입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제도를 근거로 추진된다. 동 법률은 지역 단위의 재생에너지 및 분산형 전원 자원을 활용해 계통 안정성과 에너지 자립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특화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에는 규제특례, 재정지원, 기술협력 등 정부의 종합적 지원이 가능하다.
영암군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실무위원회 평가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올해 하반기부터 실증사업을 본격 착수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향후 선정 확정 시 실증 결과를 기반으로 한 확산 모델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에너지복지 증진을 동시에 추구하는 새로운 분산형 에너지 생태계를 실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