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대표지역은 우리'...분산특구 공모에 11개 지자체 출사표

공모 마감 결과 17개 광역지자체 중 11곳 참여 상당수는 지정가능성 높이고자 복합형 전략 제안 공급-수요-신산업형 유형별 경쟁 구도 뚜렷 정부 “6월 중순 최종 지정… 상반기 내 발표”

2025-04-18     김진후 기자
[제공=업계 추산, 전기신문 재정리]

지난 15일 마감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지정 공모에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11곳이 출사표를 냈고, 사업대상지에 포함된 기초지자체는 13곳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다수 지자체가 지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유형을 혼합해 신청한 게 눈에 띄는 대목이다. 

1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분산특구 공모 신청 절차에 총 11개 광역지자체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 광주, 울산, 인천 등 4곳이 신청서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은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명지지구 일대 52㎢ 규모를 대상으로 ‘공급자원유치형+신산업활성화형’ 복합 모델을 제시하며 데이터센터 유치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울산은 미포·온산국가산단 6610만8000㎡ 일대에 열병합발전 등 고효율 분산전원을 배치하는 수요자원유치형과 신산업활성화형 결합 모델을, 인천은 남동구와 서구의 4개 산업단지(약 13㎢)를 묶어 복합형 전략을 각각 제안했다. 광주는 단일 신산업활성화형 모델로 승부수를 던졌다.

광역도에서는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제주 등 7곳이 참여했다. 경기도는 파주시와 의왕시가 각각 공급자원유치형 모델로 지원했다. 파주시는 도시관광공사를 전력소매사업자로 지정하고 총 17MW 규모의 공공 재생에너지 기지를 조성한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의왕시는 학의동에 민간주도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고 저장전기 판매 실증에 나선다는 포부를 밝혔다.

충북은 산단 내 소형 LNG 발전소(28.2MW) 설치 계획을, 충남은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와 보령 고정산단에 수요 기반 모델을 제안했다.

전남은 해남·나주(복합형), 여수·영암(신산업형) 등 복수 지역이 참여했다. 이들 지역은 데이터센터 유치와 AI·ICT 융합 신산업 육성을 특화 전략으로 내세웠다. 전북은 단일 신산업활성화형 전략을 구사했다.

경북도 두 갈래 전략을 택했다. 구미 국가산단의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수요자원유치형을, 포항 영일만산단에는 수소엔진 발전을 축으로 한 신산업형을 제출했다.

제주도는 도 전역(1850㎢)을 대상으로 ESS-전기차를 통한 전력 계통 연계(V2G) 모델을 구성했다.

 정부가 15일 분산특구 지정 공모를 마감한 결과 전국 17개 자치단체 중 11곳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심사를 거쳐 6월 중 최종 선정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챗GPT 생성]

반면 서울, 대구, 대전, 세종, 경남, 강원 등 6개 광역단체는 이번 공모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분산특구는 기존의 중앙 집중형 전력공급 체계에서 벗어나 지역 단위에서 에너지 생산·소비를 자립적으로 수행하는 ‘지산지소’ 구조를 마련코자 도입된 제도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은 지자체 역량과 여건을 고려해 ▲수요자원유치형(전력 다소비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분산전원을 공급해 자립을 도모하는 방식) ▲공급자원유치형(풍력·태양광 등 지역 내 에너지 자원을 집중 구축해 공급 기반을 확충하는 방식) ▲신산업활성화형(ESS·V2G 등 미래 에너지 기술을 접목한 신산업 생태계 조성 방식)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 공모를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유형별로 각 1개 지자체가 이번 분산특구 공모에서 최종 선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수요자원유치형에서는 충남과 경북, 전남 간 경쟁이, 공급자원유치형에서는 경기도, 충북, 인천, 부산 간 경합이, 신산업활성화형에선 울산·제주·전북·포항·광주 등 다자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전남과 경북, 부산, 인천 등 복합형 전략을 제출한 일부 지역은 다면평가 과정에서 복수 지자체로 나뉘어 별도 심사를 받을 가능성도 점쳐진다.            

공모 평가 일정이 당초 계획보다 다소 지연되면서 최종 선정 시점은 6월 중순이 될 전망이다. 산업부와 공단은 5월 중 전체 지자체를 대상으로 컷오프 없이 공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 뒤 실무위원회 검토 및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6월 중순쯤 최종 지정 여부를 확정할 방침이다.

공단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상반기 내 특구 선정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