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일렉스, ‘즉시 사용 가능한’ 스마트 제어 충전기 주목

환경부 시스템 구축 전에도 충전제어 가능 SoC 제한으로 배터리 화재 예방 효과 현존 전기차 즉시 호환...업데이트 불필요 환경부 인증 완료로 보조금 지원 대상

2025-04-17     오철 기자
서울 마포구 SK티월드 지하 3층 주차장에 설치된 클린일렉스의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들.. [사진=클린일렉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배터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제어 충전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환경부 주도로 스마트 제어 충전기 보급이 확대되는 가운데, 관련 시스템의 완전한 구축까지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배경에서 클린일렉스가 시스템 완비 전에도 즉시 충전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를 선보여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16일 클린일렉스에 따르면 자사의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가 SK티월드, 서울 동부교육지원청, 풍림아파트 등 15곳에 40여기가 설치돼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2024년 서울시 보급사업 충전기는 배터리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를 95%로 설정해 안전한 충전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마포 티월드 B3 등에 설치된 충전기는 80%로 설정해 건물 관리자의 화재 불안감을 말끔히 해소하고 있다.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는 기본적으로 전기차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하며 충전량을 제어하는 장치다. 수집된 배터리 데이터는 진단 및 분석을 통해 화재 예방에 활용되고 배터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러나 이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충전기 설치뿐 아니라 전기차 제조가의 EVCC 업데이트와 환경부의 데이터 서버 및 플랫폼 구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클린일렉스의 SoC 표시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는 전체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도 즉시 충전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특히 EV(전기차)와 EVSE(충전기) 간 디지털 통신(PLC) 규약인 ISO 15118에 충실하게 설계돼 CCS와 NACS 규격의 기존 전기차 70만대도 별도 변경 없이 바로 충전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클린일렉스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는 최대 충전 SoC를 설정할 수 있다. 사진은 실시간 SoC 표시(왼쪽), 충전 전류 표시 화면. [사진=클린일렉스] 

충전소 관리자는 웹 시스템을 통해 각 충전기의 최대 충전 SoC를 80~95%와 같이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범위 내에서 자신의 충전 목표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설치 즉시 공동주택이나 빌딩 지하 주차장의 화재 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해당 제품은 충전 커넥터를 자동차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시작되고 결제되는 기능, 충전기 표시창에서 SoC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충전 플러그 연결 자동 감지, 낮은 대기 전력, 과전류 및 누설차단 등 다양한 안전 기능도 갖추고 있어 안정적인 충전 환경을 보장한다.

클린일렉스의 제품은 이미 환경부의 배터리 정보교환 규격에 따른 시험인증을 완료해 정부 보조금 지원 대상에 포함됐으며, VIN(또는 배터리 ID), SoC, SoH, 배터리 전압/전류/온도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특히 환경부가 본격적으로 배터리 데이터 수집에 착수하면 곧바로 이에 맞춰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환경부는 올해만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 설치 보조사업에 2430억원을 편성했으며, 올해 설치되는 완속충전기는 스마트 제어 충전기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

향후에는 인증서 기반 PnC와 양방향 전력전송 V2G 기능 탑재도 가능한 다재다능한 충전기로 발전할 전망이다. 또한 나라장터 MAS(다수공급자계약) Mall에서도 구매할 수 있어 공공기관의 접근성도 높였다.

제품 라인업은 7kW, 11kW, 14kW, 22kW 등 다양한 용량의 완속충전기로 구성돼 있어 설치 환경과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이효영 클린일렉스 대표는 “당사 스마트 제어 충전기는 우리나라를 달리고 있는 70만대 전기차도 별도 변경 없이 바로 적용 가능해 화재 안전성을 높이면서 사용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부의 정책 방향에 맞춰 더 안전하고 편리한 충전 솔루션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