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특구 공모 절처 곧 돌입…지자체 유치 경쟁 치열
올 초 공모 절차 돌입해 상반기 중 2~3곳 발표 울산·부산·경기·전남 등 전국 10여 개 지자체 참여 예정
정부의 ‘분산에너지특화지역’(분산에너지 특구) 공모가 올 초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될 경우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사업자에게 곧바로 판매하고, 연관 산업 육성 등이 가능해 져 선정을 위한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 및 지자체 등에 따르면 산업부는 이르면 올 초 분산에너지특구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에 돌입한다. 구체적인 선정 시기와 조성 규모 등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올 6월 전후께 분산에너지 특구 2~3곳을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2024년 6월 제정된 분산에너지법은 장거리 송전망에 기반한 중앙집중형 전력체계에서 비롯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해 소비가 가능한 지산지소형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핵심 제도가 바로 ‘분산에너지 특구’다. 분산에너지 특구에서는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특례가 적용된다. 또한 2026년부터 발전소 주변의 경우 저렴하게 전기를 쓰게 하는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화’도 도입될 예정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 지역 내 대규모 전력 수요처만 확보하면 전력 판매뿐 아니라 연관 산업까지 육성이 가능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때문에 전국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특구 지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국 시·도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등 11곳이 분산특구 공모에 참여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올 초 공모를 앞두고 지정을 위한 지자체들 간 준비도 한창인 모습이다.
울산시는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분산에너지 활성화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분산에너지 전담 지원기구를 출범하는 등 강력한 분산특구 유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울산시는 발전 자원용 연료 직도입과 청정연료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산업단지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부산시의 경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주변 산업단지를 연계해 수요지 인근 도심에 ‘공급자원 유입형’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해당 지역에 설치 예정인 태양광 발전소 등을 연결한 가상발전소(VPP)를 개발 중이다.
제주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만 대의 전기차를 활용한 ‘신산업 활성화’ 모델을 추진한다. 전기료가 저렴한 시간대에 ‘이동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인 전기차를 충전한 뒤 비싼 시간대에 전기를 꺼내 쓰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전남도는 풍부한 재생에너지 설비 인프라를 강점으로 공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대 규모인 신안 8.2GW 해상풍력 단지, 여수 수소산업 클러스터 등이 예정대로 조성되면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목표로 하거나 저렴한 전력이 필요한 반도체·데이터 관련 대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전북도는 3단계 대응 전략을 내세워 공모전에 나선다. 1단계인 분산 자원 인프라 시설 구축은 현재 진행 중이며, 이후 2단계에서는 전력 자립률 100%를 초과하고 전력계통 연계가 가능한 시군을 대상으로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계획 지역을 추진한다.
경북도는 ‘경북형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전략을 밀고 있다. 울진군 한울원전의 송전 제약 전력을 이용한 P2G(Power to Gas) 사업, 수소연료전지 발전을 통한 전기·열 공급 등을 검토 중이다.
경기도는 ‘경기 RE100 특구’를 추진 중이다. 도는 ‘경기 RE100 특구’를 크게 3개 권역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3개 권역은 ▲시화호 일대를 중심으로 한 서해안 벨트권 ▲평화누리공원 주차장, 연천 경기도소방학교 북부캠퍼스를 활용한 북부 평화경제 벨트권 ▲상수원 보호구역내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자전거 도로 등 공유부지를 활용하는 동남권이다.
이처럼 유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분산특구 성패는 결국 대형 전력 소비처를 어떻게 유치할 것인지 여부에 달려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사용할 기업이 있어야 수요과 공급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지자체들이 적극 나서 전력 다소비 업종인 데이터센터 사업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면 특구 지정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