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컴백) ‘트럼프 2기’ 출범 예고...재생E 업계 “불안 요소 현실화” 우려
IRA 축소 우려로 성장 예측 ‘안갯 속’ 한화솔루션·OCI 등 6일 주가 급락 美 풍력 시장 축소 시 글로벌 펀드 이탈 우려 “재생E 확대, 트럼프도 예외 아닐 것” 반론도
미국 제47대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확정됨에 따라 투자를 확대하던 국내 재생에너지 업계에 급제동이 걸렸다. 트럼프는 유세 당시 기존 IRA 법안의 세액공제 및 인센티브 축소와 파리기후협약 탈퇴를 공언하는 등 바이든 정부가 내세웠던 ‘친환경 드라이브’의 종료를 예고한 바 있다.
이에 기업들은 혜택 축소가 예상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비롯해 “불안요소가 현실로 다가왔다”는 반응이다.
국내 태양광 업계에선 대규모 설비 증설을 추진해 온 한화솔루션이 대표적인 미국 진출 기업이다. 한화솔루션은 3조2000억원을 투입한 조지아주 카터스빌 공장을 비롯해 미국 내 총 8.4GW의 모듈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공장은 IRA를 통해 2028년까지 연 1조원의 생산세액공제 혜택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번 트럼프 당선에 따라 앞으로의 성장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가장 큰 불안감은 불확실성“이라며 ”2028년까지 IRA 인센티브는 확정적이지만, 그 이후의 생산설비 운영과 추가 투자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상하원 합의로 성사된 IRA 법안을 깨고, 기존에 확정된 혜택을 철회 내지 역행하는 것은 법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또한 한화솔루션 측은 공장이 위치한 조지아주가 공화당 우세지역이기 때문에, 지역 내 경제효과를 고려하면 연방 및 주 정부가 불이익 조치를 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정부 차원에서 각종 기반시설 투자를 축소하거나, 중국과의 무역 갈등 심화로 핵심 자재 비용이 상승하는 등 간접적인 부담 요인도 남아있다.
이를 반영하듯 대선 투표가 종료된 지난 6일 한화솔루션의 주가는 장중 8.2% 급락 후 마감했다. 미국 진출 10년차인 OCI 역시 현지 합작사 설립을 추진 중인 가운데 유탄을 맞으면서 같은 날 주가가 1.65% 하락했다.
국내 풍력 업계 역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후보 당선이 미칠 영향을 당장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에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의견을 같이했다.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 변화와 국가 주도의 엄격한 보호무역 시행이 우려된다는 목소리 속에 화석연료를 선호하는 공화당과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정책으로 인해 국내 풍력 업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그간 국내 전선, 변압기, 풍력 설비 분야 기업들은 미국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힘입어 대미 수출을 확대해 왔다.
특히 지난 바이든 정부에서 실시한 IRA로 인해 국내 제조 기업들은 미국 투자를 확대해 왔다. 풍력 업계는 대규모 자본이 투자되는 특성 상 제도 정책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선거 기간 내내 재생에너지에 부정적인 입장을 비친 트럼프 당선자의 기조에 우려를 표해왔다.
국내 풍력 공급망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후보의 정책 기조인 관세 및 무역 정책 강화로 대미 수출 규모가 큰 한국 기업 전반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한 공급망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수출 기업에 해당되는 부문”이라고 말했다.
최승호 광화문해상풍력포럼 위원장은 “미국 증시가 떨어지면 한국 증시도 영향을 받듯이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 기조로 미국 풍력 시장이 축소되면 한국 시장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한국 해상풍력에 투자한 글로벌 자본이 연쇄적으로 이탈하면서 사업 지연 및 자금 경색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트럼프 당선자의 에너지 정책 기조와 별개로 재생에너지 보급이 세계적인 추세인 만큼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김종화 한국풍력에너지학회 풍력발전 전략위원장은 “재생에너지 보급과 풍력 단지 보급은 이미 글로벌 흐름인 만큼 변화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의 정책 기조 변화로 인해 산업이 잠시 주춤할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산업 추세로 보면 미미한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세계지역연구1센터 북미유럽팀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발표한 ‘2024 미 대선 이후 재생에너지 정책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집권 시 재생에너지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며 “미국 내 재생에너지 투자 속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