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실현 위해선 기후테크 상용화 및 기후금융 활성화 필요”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기후변화센터 ‘대한민국 2050 미래전략 포럼’ 정수종 교수 “기후테크, 온실가스 감축에만 매몰…가치 평가 후 투자 필요” 김성진 ESG센터장 “정책금융기관, 민간의 자발적 투자 유도 역할 맡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기후테크 개발 및 상용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기후금융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2050 미래전략 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주장했다.
기후테크란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하는 혁신 기술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산업이다. 기후금융은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정책과 투자 등을 지원하는 공공 또는 민간의 자금조달 활동을 일컫는다.
이날 첫 번째 발제자인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기후테크 육성을 위한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기후테크 육성을 위해서는 ‘기후금융 사용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정책금융기관들이 기후테크 전환과 온실가스 감축·적응 사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며 “하지만 국가의 공공금융과 정책금융, 민간 투자금을 잘 믹스해서 어떻게 잘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은 부재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타개할 3가지 전략으로 ▲국가 중점 투자 전략 수립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 ▲과학 기반의 가치투자를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정 교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과 경제성장이라는 공편익 충족 위한 국가 비전이 필요하다”며 “금융지원의 근거가 되는 국가의 계획과 전략, 법 정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술 개발 현황을 보면 온실가스 감축에만 매몰돼 있다”며 “지속 가능성이 있으려면 사회적 수용성과 경제성, 환경 침해 요인 등을 정확히 판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10년 뒤에는 오히려 폭탄이 될 수 있는데, 현재 가치 평가가 제대로 안 되고 있기 때문에 탄소가치평가와 사회환경피해평가를 통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정 교수는 해당 전략을 통한 주요 투자처로 에너지와 산업 부문을 지목했다. 그는 “한국은 제조업과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이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와 탈탄소 에너지 공정 전환 및 혁신, 데이터 관리, 모빌리티 등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 쪽에 좀 더 과감하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태훈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 녹색기후기획과장은 ‘글로벌 기후금융과 기후테크: 탄소시장 전망’을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국내외 자발적 탄소시장(VCM)이 어떤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했다.
김성진 KDB산업은행 ESG센터장은 ‘기후테크 정책금융의 역할과 산업은행 지원방향’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기후테크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초기 기후테크의 상용화가 필수다. 기후테크의 혁신이 있어야만 전체적인 탄소중립 비용을 축소시킬 것”이라며 “기후테크 발전은 기후리스크를 축소해 실물경제 하락과 금융리스크를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후테크가 상용화되려면 기후금융 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정책금융기관은 민간에 기후테크 시장이 ‘기회’라는 시그널을 주면서 자발적 투자를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행된 패널토론은 이승민 한국환경연구원 대기환경연구실장을 좌장으로 ▲김종훈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원장 ▲박건후 NH투자증권 클라이언트솔루션본부 대표 ▲장은혜 한국법제연구원 기후변화법제팀장 ▲정규창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 팀장 ▲한신 에이치투 대표가 열띤 토론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