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해상풍력 강점인 하부구조물‧철강 산업 육성해야”
경쟁입찰 시 평가에 반영해 국산 자재 활용 유도 필요 KS인증도 저가제품 퇴치방안으로 거론, 폐지된 LCR 보완 의미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의 강점인 하부구조물과 철강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로컬 콘텐츠(Local Contents) 사용을 장려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전라남도는 지난 15일 전남 신안비치호텔에서 ‘해상풍력산업 상생발전 포럼’을 개최하고 국내 해상풍력 산업생태계 조성과 국내 공급망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서 이슬기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내 해상풍력 산업생태계 현황 및 로컬 콘텐츠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국산 하부구조물 사용 장려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먼저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시 정성평가로 이뤄지는 산업경제효과 평가에 국산 하부구조물과 강재 사용을 명기해 국산 제품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는 것이 이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이렇게 하면 지난해 폐지된 해상풍력 LCR(Local Content Rule, 국산화비율) 규정을 보완해 국산 자재 활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부구조물은 장기간 해수면 아래에 잠겨 있어야 하는 만큼 안전과 품질이 담보돼야 한다. 이에 품질이 보장된 국산 제품을 장려하고 장기적으로 국내 하부구조물과 강재 사용을 정량평가로 전환해 국내 하부구조물 업계와 철강 업계를 육성해야 한다는 게 주장의 골자다.
또 풍력 발전단지 인증 활성화를 통해 KS인증 제품 사용을 장려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현재 터빈은 KS인증을 받아야만 REC를 받을 수 있어 사실상 필수적으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외 부품들은 의무적인 안전검사나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올해부터 꾸준히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만큼 하부구조물, 타워 등 주요 부품들의 안전검사를 시행하는 프로젝트 인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에서도 2030년부터 프로젝트 인증을 시행하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있다.
이슬기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내에서 꾸준히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추진될 예정인 만큼 품질이 보증되지 않은 저가 제품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외국계 기업도 인증을 받으면 국내 공급망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소량으로 저가 제품을 유입하는 업체에는 인증이 허들(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