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현 VPP협의회 의장 “VPP 본질은 발전자원 가치 높이는 일”
협의회 차원의 시장 참여 유인 강화 의견 취합 입찰시장·분산법·제로에너지빌딩 등 일원화 필요 육지시장 확대 위한 제주 입찰시장 성숙화 목표
권오현 VPP 활성화 협의회 의장은 최근 <전기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협의회 의장을 맡은 소회에 대해 “궁극적으로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VPP)라는 업의 본질은 고객이 맡긴 재생에너지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각 기업의 소명은 이를 토대로 세부적인 자원 하나하나의 혜택을 늘리고, 전기 소비자에게까지 그 혜택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VPP 업계는 오는 2월 제주 입찰시장 개설과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분산법) 시행을 맞아 본격적인 시장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작년 11월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를 간사로 두고 VPP 기업 및 전력 공공기관 등 총 23개 회원사가 참여한 VPP 활성화 협의회를 발족하는 등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해줌은 협의회 의장으로 선출돼 분산법 시행과 관련한 시행령·시행규칙 등 하위법령 운영과 협의회 운영방침 구체화 논의를 이끌 예정이다. 특히, 해줌을 비롯한 협의회는 향후 전력시장 전반이 VPP 시장으로 변모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 구성 역시 향후 육지 전력시장까지 확대될 VPP 업계의 ‘기반 작업’으로 풀이된다.
권오현 의장은 “시장에는 다양한 환경의 기업이 각기 다른 무기로 저마다 ‘Energy as a Service’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며 “앞으로 등장할 수많은 서비스 기업들은 차별화 된 기술력과 운영자산에 기반을 둔 리스크 회피와 조직의 자산관리 측면에서 각각의 독특한 사업구조를 개진할 것이다. 이들은 각각의 노하우를 입찰·도·소매 사업 등 다양한 파생 비즈니스로 풀어가는 VPP 기업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줌 외에도 SK에코플랜트, 현대건설 등은 VPP의 ‘데뷔전’이 될 제주 입찰시장 참여를 준비 중이다. 다만 현재 거론 중인 시장에는 굵직한 한계가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무엇보다 발전자원을 보유한 발전사업자들은 충분한 시장 참여 유인이 없어 수익 측면에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협의회는 사업자별 솔루션을 넘어 제도 수립의 방향부터 ‘업의 본질’인 수익성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는 견해다.
권오현 의장은 “과거의 정산수준을 그대로 가져오면 발전사업자로선 마이너스 요인만 생기는 셈이다. VPP 플레이어뿐 아니라 시장 전체가 각종 패널티와 리스크, 금융 등 비용은 최소화하면서 시장 참여의 베네핏(수익)은 증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또, 입찰시장뿐 아니라 분산법, 제로에너지빌딩 등 제도의 시장 참여자와 정책 입안자의 눈높이가 상이한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산에너지 통합관련소와 관련해서는 협의회를 바탕으로 회원사의 요구를 취합해 시장 참여자의 의견을 충분히 건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제주시장을 바탕으로 2025년 이후 육지 전력시장에 확대될 입찰시장도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권오현 의장은 “한편으로 제주시장은 육지시장의 전초전이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말 그대로 시범사업의 측면이 있다. 초기 시장이지만 정산수익과 임밸런스 패널티 등의 리스크, 출력제한과 관련된 정책 등 다양한 과제에 봉책해 있다. 특히 발전사업자의 저항은 정부에서도 치열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런 측면에서 이번 사업은 민간·공공 모두에게 중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권 의장은 향후 시장을 판가름할 요소로 우수한 기술력에 기반한 ‘노하우’를 꼽았다. 그는 “기업들의 발전량 예측 기술은 평준화되고 있다. 거꾸로 신규 진입하는 기술 기반 기업들에겐 진입장벽이 높아질 것”이라며 “이제 기업의 경쟁력은 서로 다른 환경에 놓인 수십기의 집합자원 포트폴리오를 최적의 형태로 조합하고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것, 또 이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수 있도록 리소스를 활용하는 것이 되고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