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성 커지는 '유지보수’...환경부 급속충전기 유지보수 위탁운영 세분화

로지시스·대영채비 등 전국 4개 권역 담당 업체 선정 기존 2개 권역서 확대, 충전 유지보수 대응 강화 올해 시장도 확대보다 ‘효율’...유지보수 중요성 더 커져

2024-01-16     오철 기자
전기차 충전기 유지보수 작업 현장. (제공=한전MCS)

최근 환경부 급속충전시설의 점검과 유지보수를 맡을 위탁운영 업체 4곳이 선정됐다.  이번 위탁운영 사업은 전기차 충전기의 원활한 운영과 세심한 유지보수를 위해 관리권역을 중부, 남부 등 2개로 구분했던 과거와 달리 4개 권역으로 세분화한 게 특징이다.  

이처럼 환경부가 유지보수를 강화하는 가운데 민간 충전 업체들도 충전기 보급 확대보다 효율적 운영에 무게를 싣고 있어 올해 유지보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 권역 2→4개로 세분화...유지보수 중요성↑ 

2024년부터 2025년 말까지 2년간 환경부 급속충전기 유지보수를 맡을 위탁업체로 로지시스(1권역), 대영채비(2권역), 이지차저(3권역), 이브이시스(4권역) 등 4개 업체가 선정됐다.  

환경부 급속충전시설 현장점검 및 유지보수 위탁운영 사업은 전국의 환경부 급속충전기 8000여 기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것으로, 한국자동차환경협회가 발주하며 2년마다 사업자를 새로 선정한다. 올해는 사업 금액으로 약 68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올해 유지보수 위탁 사업은 예전과 다르게 담당 권역을 2개에서 4개로 세분화했다.

2년전에는 중부, 남부로만 권역을 나눴지만 올해는 서울·수도권·강원(1권역), 대전·세종·충청도(2권역), 광주·전라도·제주도(3권역), 대구·부산·울산·경상도(4권역) 등 4개로 권역을 세분화했다.  환경부 충전기 수량이 2년 전보다 늘어난 것도 있지만 빠른 유지보수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원활한 충전기 운영,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등을 위해서는 고장 난 충전기를 빠르게 고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부는 빠른 유지보수 대응을 위해 동일 업체가 2개 이상 권역 사업에 선정될 수 없도록 했다. 이를 위해 선(先) 권역 낙찰자는 후(後) 권역 개찰 시 사전판정에서 제외되도록 규정이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로지시스는 1권역, 2권역, 3권역에서 종합점수가 1위였지만 ‘한 업체 한 권역’ 규칙에 따라 1권역만 맡게 됐다.

◆고장 없는 운영=수익...시스템 통해 비용도 줄여

최근 전기차 충전기 고장 이슈로 인한 전기차 사용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빠른 유지보수 대응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전기차 판매가 주춤하고 충전 시장의 투자 열풍도 식으면서 올해 다수의 충전업체가 충전기를 하나 더 보급하는 것보다 기존 충전기를 고장 없이 사용하도록 서비스 하는 전략을 선택한 것이다. 운영 효율을 높이는 것이 수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상위 충전운영사(CPO)들은 빠른 대응, 유지보수 비용 절감 등을 위해 플랫폼에서 전기차 충전기를 진단하고 대응하는 방안을 진행하고 있다.

SK일렉링크는 충전기 상태정보를 시스템상에서 표시해 제조사가 볼 수 있게 하고 선제적으로 현장에 출동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또 출동이 필요한 고장과 비출동 고장을 구분해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매뉴얼화했다. 대영채비도 플랫폼에서 원격 리셋, 오류 자체 진단 등을 적용해 운영 편의성과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있다.

아울러 뒤늦게 충전 제조 시장에 진입한 LG전자가 거침없이 국내와 해외에서 빠르게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것도 대기업 전자회사가 보유한 유지보수(A/S) 역량이 크게 반영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상천 로지시스 부문장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는 장기적인 안정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