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풍력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신재생·원전 증가, 전력계통 계획 조기 확충 필요”

2023-11-14     안상민 기자
서영민 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 사무국장이 14일 제주 메종글래드에서 개최된 한국풍력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해상그리드로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촬영=안상민 기자

신재생에너지와 원전 확대에 맞춰 전력계통을 조기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서영민 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 사무국장은 14일 제주 메종글래드에서 개최된 한국풍력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해상그리드로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발표하며 10차 장기송변전계획을 앞당겨 계통 포화를 해소하고 11차 계획 또한 조기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전기 수급 계획을 담은 10차 전기본에 따르면 2030년까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력 수급 비중이 확대된다. 그러나 발전소와 수용가까지 거리가 멀고 이를 수용할 계통이 넉넉치 않아 증가하는 전력공급을 수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서영민 사무국장은 지난 2022년부터 2036년까지의 계통 수립 계획을 담은 10차 장기송변전계획을 조기 착수해 HVDC 및 해상그리드 보강을 이뤄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 사무국장은 “지금 계통 수립 계획으로는 늘어나는 신재생에너지와 원전의 전력 공급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서해안 HVDC 보강안이 담긴 10차 계획을 기존 2036년까지 마치는 것이 아니라 조기에 착수하고 HVDC와 해상그리드 보강안을 담은 11차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1988년부터 시행중인 제주도와 전남의 계통을 연계하는 프로젝트를 영남지역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주·육지 계통 연계사업은 ▲지난 1998년 전남 해남-제주 ▲2013년 전남 진도-서제주 ▲2023년 전남 완도-동제주를 연결하는 프로젝트다. 그러나 전남은 제주와 마찬가지로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한 출력제어가 우려되는 지역이다. 이에 경남지역과의 계통 보강을 통해 출력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서 사무국장은 “한전은 계통 보강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민간자본을 활용하고 이를 통해 전력인프라 적기 투자를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