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만의 트램 부활 기지개…정부-지자체 동반 성장 프로젝트 자리매김

국토부 ‘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 마련…도시재생 및 관광 활성 ‘일석이조’

2020-08-26     박정배 기자
홍콩 트램 전경.

근현대 시절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트램(노면전차)이 50년 만에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서울 1945’와 같은 근현대사를 다룬 드라마에 등장하는 트램은 1968년 완전히 폐선되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바 있다.

이 같은 트램은 21세기의 5분의 1이 지난 시점에 대한민국 국토 곳곳을 누빌 채비를 진행 중이다. 대전광역시는 2호선 32.4㎞에 대해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서울특별시는 위례선 5.4㎞, 부산광역시는 오륙도선 1.9㎞, 경기도는 동탄도시철도 32.4㎞에 대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상위계획 반영 단계에 이른 지방자치단체도 세 곳이다. 경기도는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오이도연결선, 송내-부천선, 수원 1호선, 스마트허브노선 등에 대해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으로 반영했다. 성남 2호선은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인천광역시는 인천남부순환선, IN-Tram, 영종내부순환선, 송도내부순환선 등에 대해 인천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으로 반영했다. 부산시는 강서선, 정관선, 송도선, C-Bay~Park선에 대해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으로 반영했다.

즉 경기도와 부산시는 앞으로 계속 트램 건설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편이다.

이 같은 트램 건설 열풍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가 응답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최기주)는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노면전차(트램) 시설 설계 가이드라인’(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권고안의 성격을 가진 설계 가이드라인은 각 지자체에서 트램 노선의 계획·설계 시 도입 초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활용 가능한 실무 지침이라는 전언이다.

이미 지난 2년간 철도기술연구원, 도로교통공단 등 전문기관과 협업해 내용을 구성하고 올해 수차례에 걸쳐 경찰청, 지자체 및 전문기관 등과 협의해 보완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했다.

▲총칙 ▲선로 ▲신호 ▲전기 ▲관제 및 통신 ▲정거장 ▲차량기지 등 총 7개의 장으로 구성했으며 실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외 사례도 제시했다.

정부는 트램의 활성화를 위해 ‘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등의 법률 개정을 통해 트램의 운행 근거를 신설하는 등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트램은 도시교통난 해소와 함께 도시재생의 효과도 볼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 유럽, 북미 등 389개 도시에서 2304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트램이 없는 국가의 국민에게는 그 자체가 하나의 관광 자원으로 자리매김했다.

홍콩 트램은 홍콩섬의 북쪽 지역을 동서로 횡단하는, 1904년 개통된 유서 깊은 철도다. 2층 트램으로 운행하며 노선 바로 옆에 전통시장이 형성되는 등 관광 상권의 핵심축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관광 자원이 없다시피 해 시청 차원에서조차 ‘노잼의 도시’라고 자조 섞인 홍보물을 내놓는 대전시도 베이스볼드림파크 조성사업, 보문산 관광 개발 사업, 드림타운 3000호 건설사업 등과 연계한 도시재생 전략을 수립하고 선도 사업을 발굴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