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 심의 의결
e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LNG, 바이오연료로 전환
바이오선박유 실증 완료, 설비교체 없이도 사용 가능

정부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5000t급 이상의 대형 외항선의 연료를 친환경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사진=한국석유공사
정부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5000t급 이상의 대형 외항선의 연료를 친환경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사진=한국석유공사

 

정부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우리나라와 해외를 오가는 800척 이상의 대형 외항선을 모두 친환경연료로 전환하기로 했다. 여러 친환경연료가 거론되지만 현실성을 감안하면 바이오선박유가 최적이라는 평가다. 바이오선박유는 실증까지 마친 상태이고 기존 설비를 그대로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국내 환경에서는 원료 확보가 쉽지 않아 해외 협력을 통한 조달이 최대 관건으로 꼽히고 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 14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제2차 전체회의를 열고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 심의 의결을 통해 ▲친환경선대 전환 ▲해운산업 투자여건 개선 ▲친환경 기술 및 연료인프라 확충 ▲무탄소 항로 구축 및 국제협력 등 4가지 전략을 마련했다.

정부는 국제해사기구(IMO) 규제 대상인 5000t 이상 외항선 867척을 대상으로 노후선 대체 등을 통해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탄소부담금 제도를 도입하는 유럽연합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유럽과 미주 정기선대 60%를 우선적으로 전환한다.

해운선사의 적기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해양진흥공사 및 산업은행 등 공공기금으로 최대 4조5000억원을 조성해 후순위 대출 등으로 지원한다. 친환경선박에 대한 대출자금 금리인하 혜택도 부여하고, 중소 해운선사를 지원하기 위해 최대 1조원 규모의 펀드도 신설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2031년까지 총 2540억원을 투입해 추진 중인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저탄소 및 무탄소 선박의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선박용 친환경연료로는 e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LNG, 바이오선박유가 꼽힌다. e메탄올은 포집 이산화탄소와 그린 수소를 합성해 만든다.

정부는 부산-미국 서부간 무탄소항로 구축을 위한 타당성연구에 착수하고, 무탄소연료 추진선박 시범운항 지원 등을 통해 향후 유럽과 아시아 등으로 항로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국제해운 분야에서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60%, 2040년까지 80%, 2050년까지 100% 저감한다는 계획이다. 

선박용 친환경연료 가운데 가장 현실성 있는 것으로 바이오선박유가 꼽힌다. 바이오매스 연료는 생장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연소 시 배출되는 탄소는 중립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선박유는 팜유 찌꺼기 등의 식물성유지, 가공육 찌꺼기 등의 동물성유지, 해조류 등에서 추출해 생산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일정량의 원료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바이오선박유 성분은 기존 선박유와 거의 유사해 설비 교체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바이오디젤을 3.5% 의무혼합하는 차량용 경유와 같은 원리이다.

우리나라는 2021년 12월 바이오에너지협회, HMM,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한국선급 등으로 구성된 민간협의체가 육상에서 실증에 성공했고, 외항선 선박을 이용한 실증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산업부와 해수부는 2024년까지 바이오연료 통합기술개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토대로 이르면 2025년부터 바이오선박유 상용화도 계획하고 있다.

바이오선박유의 가장 큰 문제는 대량 생산을 위한 원료 확보이다. 국내 폐식용유, 가공육 찌꺼기 등은 이미 바이오디젤 생산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의 원료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바이오연료 원료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해외자원개발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선박유 상업화 시장이 열리면 원료 생산에 유리한 동남아 등지에서 공급시장이 발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국내 바이오연료 업계가 제조공장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운업계의 정보공유 등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