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소버스 400대 대상 연료전지시스템 교체비용 지원
“중국산 전기버스 시장 잠식 대응…수소버스 경쟁력 확보”
액화플랜트 구축 일정상 상반기 수소버스 구매 지자체에 유리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가 전국 17개 시도 광역·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구매보조 시범사업’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정세영 기자)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가 전국 17개 시도 광역·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구매보조 시범사업’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정세영 기자)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버스의 보급을 확대하려는 가운데 올해 수소버스 구매보조 시범사업의 윤곽이 드러났다. 기체수소 공급자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상반기에 수소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지자체가 시범사업에 선정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17개 시도 광역·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구매보조 시범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기존에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각각 지원해왔던 구매보조금과 저상버스 보조금에 더해 산업부가 연료전지시스템 1회 교체 비용을 별도로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현재 수소버스는 ▲제조사 완성차 할인(1억1000만원) ▲환경부 구매보조금(3억원) ▲국토부 저상버스 보조금(9000만원)을 지원받고 있다. 수소버스의 판매가격이 6억3000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실 구매가는 1억3000만원 수준이다.

이날 산업부 관계자는 시범사업을 추진한 배경에 대해 “국내 친환경 상용차 시장의 60% 이상을 중국산 전기버스가 잠식하고 있는데, 수소버스는 핵심부품 국산화율이 무려 90%에 달해 추가적인 정책 지원만 뒤받쳐지면 이에 대응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약 1억1000만원 상당의 연료전지시스템 교체 비용을 지원해 연료전지 성능 보증기간을 기존 5년 50만km에서 9년 90만km로 확대하는 등 전기버스와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수소버스는 충전 시간과 주행거리 측면에서 전기버스보다 경쟁력을 지녔고, 올해 말까지 대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가 연달아 준공돼 수소버스의 보급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하는 상황인 점도 고려했다”고 전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다음달 말 창원(5t/일)을 시작으로 울산(15t/일), 인천(90t/일)에 액화수소 플랜트가 준공돼 연내 액화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올해 신규 도입되는 수소버스 400대를 대상으로 한다. 각 지자체는 운송사와 충전소 사업자, 수소 공급사와 컨소시엄을 꾸린 뒤 40대 이상의 수소버스 구매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특히 액화수소 플랜트 운영이 당장 불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기체수소 공급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올해 상반기 중에 수소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지자체가 시범사업에 선정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전국의 수소충전소가 수소 수급 불안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며 “올해 가동되는 액화수소 플랜트도 대부분 연말쯤에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데, 시범사업 일정대로라면 오는 4월부터 수소버스를 보급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되도록 올해 상반기 중에 수소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고, 기체수소 공급사도 확보한 지자체에 수소버스를 보급해야 한다는 게 이번 시범사업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지자체는 40대 이상이라는 기준에 대해 지역의 수소경제 활성화에 역행한다는 의견과 함께 전국적인 보조금 사업으로 확대해달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시는) 올해 환경부 예산으로 확보 가능한 수소버스가 총 15대에 불과하다”며 “단순히 수소 수급 관리 차원에서 신청 자격을 40대 이상으로 정하면 작은 지자체의 수소경제 활성화에 유리천장으로 작용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범사업이 아닌 전국적인 보조금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이 있는지 묻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의 취지는 몇몇 지자체에 최소한 40대 규모의 수소버스를 보급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자는 것”이라며 “공모 형식으로 이미 예산이 확정된 상황이어서 현재로선 사업 변경이 어렵지만, 추후 환경부와 협의해 이번 시범사업에 선정되지 못한 지역에 대한 지역방안 등을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