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발발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국내 에너지 산업을 위태롭게 흔들고 있다.

러시아가 에너지 무기화 전략을 꺼내 들며 글로벌 에너지 공급 라인이 궤도에서 벗어났기 때문인다. 소위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나라’로 불리는 국내에서 에너지 산업의 피해는 더욱 누적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같은 에너지 위기에서 조명을 받는 산업이 바로 ‘LED조명’이다. 조명은 국가 총 에너지사용량의 20%를 사용하는 만큼 에너지 수요관리의 최전선에 있는 품목이다.

이에 산업부와 에너지공단은 그동안 ‘고효율’이라는 확고한 정책 기조를 수립하고 조명 산업을 발전시켜 왔다. 국내 조명 산업은 전세계 국가 중 가장 빠르고 모범적으로 백열전구-형광램프-LED조명으로 발전한 사례로 꼽힌다.

LED조명은 백열전구 대비 80% 이상, 형광램프 대비 50% 이상의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LED조명의 보급은 곧 조명 에너지 절약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LED조명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주도한 정부에서 조명을 통한 에너지 절약 효과에 거는 기대가 컸다고 볼 수 있다.

눈여겨 봐야 할 것은 LED조명의 효율등급제(에너지 소비효율 등급표시제도) 도입이다. 

에너지공단은 지난 2008년 컨버터 내장형 LED램프를 의무제도인 효율등급 대상으로 지정한 데 이어 지난해 6월에는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효율화 종합대책’을 통해 직관형LED램프, 실외용 LED등기구, 실내용 LED등기구를 순차적으로 효율등급제에 이관하겠다고 선언했다.

조명 시장을 견인하고 있는 관급시장에서 LED조명 보급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만큼 다음으로 민수 시장을 노린다는 방침이다. 관급시장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을 통해 규모와 품질을 관리할 수 있지만 민수시장은 규모가 어느 정도 인지, 정상 제품이 유통되고 있는 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에 필수인증을 도입해 정부에서 조명 민수시장도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 효율등급제의 골자다.

민수시장에서 기생하고 있는 저가 저질 제품을 퇴출하고 관급시장 대비 미비한 LED조명 보급률도 끌어올린다는 심산도 있다. 다만 효율등급제 도입을 놓고 업계와 마찰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LED조명이 임의인증인 고효율 인증에서 필수인증인 효율등급제로 이관된다면 업계에서는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정부와 산업이 넘어야 할 산이 높다는 의미다.

올해는 LED조명 효율등급제 중에서도 LED실외등 편입안이 논의되는 해다. LED램프, LED실외등, LED실내등 중 가장 뜨거운 논의가 오고갈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산업계와 지혜로운 협의안을 도출해 내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