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화재 위험 큰 기존 ESS 문제” 대책 요구

지난 1월 12일 발생한 울산시 한 공장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계 없음) 제공: 울산소방본부, 연합뉴스
지난 1월 12일 발생한 울산시 한 공장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계 없음) 제공: 울산소방본부, 연합뉴스

지난 주 발표된 'ESS 안전 강화대책'을 둘러싸고 업계 불만이 커지고 있다. 2019년과 2020년에 발표한 1·2차 ESS 화재조사원인 결과 발표에 비해 대책은 다양해졌지만 여전히 구체적 방안이 없다는 평이다.

지난 2일 전기안전공사와 산업부는 2020년과 2021년 있었던 총 4건의 화재(전남 해남, 충북 음성, 경북 영천, 충남 홍성)에 대해 화재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반영해 배터리와 운영관리 주요 개선대책을 내놓았다. 대책에는 보증수명, 배터리 셀 적합성 인증 의무화와 전기저장장치통합관리시스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인프라 확충 등이 담겼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번 발표에 알맹이가 빠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과거 ESS 부흥기에 급격히 증가해 안전이 취약한 경우가 많은 데 정작 이를 위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한 ESS 업계 관계자는 "5월만 해도 2차례의 ESS 화재가 발생했는데 당장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없고 세부 규정조차 연말로 미뤘다"며 "앞으로 만들어질 ESS의 안전을 강화한다고 해도 기존 제품들에서 문제가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배터리 보증 수명을 도입한다지만 결국 이번에도 배터리 제조사들이 자신들의 책임을 전부 인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어차피 올해 화재로 4차 조사위가 필요한 만큼 이번에는 관련된 모든 전문가를 조사위에 참여시키고 비공개였던 회의록과 자료를 공개해 투명하게 해결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가스 배출 문제가 거론되는 등 원인 분석 면에서는 한 발짝 더 나아갔지만 구체적 대책은 아쉽다"며 "화재사고 원인이 하나가 아니라면 데이터를 공개하고 다양한 분야 전문가를 참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ESS 안전 강화대책 이후에도 기존 ESS에 대한 배터리 회사들의 추가 조치는 따로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ESS 화재사고는 1월 12일 울산, 1월 17일 경북 군위, 5월 1일 전북 익산, 5월 2일 전남 장성 총 4건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