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70MW이던 기준치 낮추고 당일시장으로 변경 추진"

탐라해상풍력단지 전경.(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없음)
탐라해상풍력단지 전경.(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없음)

출력제어를 해결하고 전력계통을 안정화하기 위한 플러스DR(Demand Response)의 제주도 발령이 6개월간 단 3차례에 불과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전력거래소는 규칙 개정을 통해 활용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플러스DR이란 기존DR과 반대로 발전량이 증가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사용량을 늘리는 제도다. 고객이 전기 사용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릴 때 보상을 받는다.

제주도는 재생에너지의 급격한 증가로 출력제어가 잦아지자 플러스DR을 해결 방안 중 하나로 선택하고 지난해 3월 제도를 우선 도입했다.

초기 분위기는 좋았다. 제주도에 널리 보급된 전기차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들이 나타났고 정부가 추진 중인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적합한 사업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대감을 높였던 플러스DR은 이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는 발령이 단 3차례에 불과해 출력제어를 줄이는 데 전혀 기여하지 못했다. 발령 기준치가 높았기 때문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플러스DR은 재생에너지가 70MW를 넘을 때 발령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며 "기상 변동이 잦아 예측에 오차가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령이 적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사이 2015년 3회에 불과했던 출력제어는 2019년 46회, 2020년 77회로 급증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풍력발전뿐 아니라 민간 태양광발전소에도 출력제어가 이뤄져 사업자들의 반발이 커지는 상황이다.

따라서 하루빨리 플러스DR 활성화를 통해 출력제어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초기 발령 기준이 너무 높았고 사실 정부 입장에선 발령 자체가 계통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뜻이기 때문에 양날의 검이었다"며 "하지만 발전사업자들의 반발을 막는 것에도 한계가 있고 ESS 등도 설치하기 어려운 지금은 플러스DR이 최적의 해결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비판에 전력거래소도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현재 하루 전 시장인 플러스DR을 당일 시장으로 바꿔 예측 오차와 불확실성을 줄이고 기준치도 낮춰 발령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70MW이던 기준치도 낮추고 당일 오전과 3시간 전에 발령할 수 있도록 규칙개정제안서를 낸 상태"라며 "플러스DR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자원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5월 말 규칙 개정이 이뤄진다면 실질적으로 계통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