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업계 "발령 기준 낮춰 실제 사용해야"

수요반응 거래시장 개요
수요반응 거래시장 개요

원전 확대 등 차기 정부의 에너지정책 변화 예고에 수요반응(DR·Demand Response) 업계에 근심이 늘어가고 있다. 안 그래도 낮은 수수료와 정점에 올라 제자리걸음 중인 참여고객 수로 어려움이 커지는데 원자력과 석탄 등 기저발전 확대로 장점인 '유연성'마저 가치가 저하된다는 우려다.

DR이란 전력거래소와 계약한 기업이 국가의 요구분만큼 전기사용을 줄이면 정부가 이를 금액으로 보상해주는 제도로 지난해 12월을 기준으로 원전 약 4기분에 해당하는 4552.9MW 용량을 확보하고 있다.

그동안 문재인 정부는 기저발전인 원자력과 석탄의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에너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해왔다. 따라서 예비 전력을 늘리기 위한 발전소 건설보다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증가와 DR시장 활성화 등을 추진해왔다.

반면 새로 들어설 윤석열 정부는 다르다. 문 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반대해 원전 확대를 공약했고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재검토를 시사한 만큼 석탄발전 등도 유지해 기저발전의 중요성이 전보다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 원자력과 석탄 등의 발전원은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보다 발전량 관리와 예측이 쉽다. 따라서 간헐성이 높은 신재생에너지원이 많을 때 빛을 발할 수 있는 대표적 유연성 자원인 DR은 전보다 그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다.

한 DR 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의 에너지정책 변화에 DR의 역할이 축소될까 자칫 우려하는 부분도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DR의 발령 기준을 낮춰 활용성을 높이고 필요성을 입증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양이원영 국회의원(비례대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종합감사를 통해 DR이 2020년부터 예비력 5.5GW 미만일 경우에만 발동되는 것으로 변경돼 이후 신뢰성DR이 활용된 적이 없고 이로 인해 약 4.6GW에 달하는 수요반응자원이 개점휴업 상태인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업계도 필요성 입증을 위해 발령 기준을 낮추고 활용도를 높이길 희망하고 있다. DR이 기술발전과 노하우 증가로 안정성이 높아진 만큼 발령에 언제든 대처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등록만 해두고 가만히 있어도 돈을 벌고 반대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페널티를 받지만 이런 위험까지 감수할 정도로 자신 있다는 것이다.

DR 업계 관계자는 "DR의 안정성이 많이 높아져 최근 진행되는 감축 시험에서는 평균 이행률이 100%도 넘고 있다"며 "전력수요를 조절해 발전소와 같은 기능을 하는 만큼 발령이 난다면 효용성을 증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