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미래 수소시장을 놓고 각국 간 주도권 싸움이 치열하다.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호주, 중동, 남미는 저렴한 수소 생산원가를 내세우고 있다. 그런가 하면 유럽은 향후 수소의 국제거래를 유로화로 진행하겠다고 공언한다. 우리도 이에 뒤질세라 활용 부문의 강점을 바탕으로 잠재적인 수소생산국과의 협업을 모색하고 있다.

아직까지 수소는 국경을 넘어 거래된 적이 없다. 하지만 글로벌 수소경제가 확산되면서 저렴한 곳에서 수소를 대량 생산해 수요처로 수출하는 거래가 일반화 될 것이라는 전망에 점차 힘이 실리고 있다.

수소시장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최근 만난 한 전문가는 각종 인증과 표준을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귀띔했다.

이미 유럽과 호주 등 수소생산 선도국은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량을 기준으로 수소를 분류하고 인센티브를 차별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수소 생산과정에서 소위 ‘탄소 집약도’를 따지겠다는 얘기다.

결국 수소는 기존의 에너지를 활용해 생산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이산화탄소를 적게 발생시켜 만들어진 수소에 인센티브를 주는 게 바람직하다.

특히 수소의 국제교역이 이뤄지면 수소인증제가 산업정책 수단으로도 활용될 여지가 있다. 우리나라 수소산업의 경쟁력을 고려해 적절히 대응하려면 수소인증제 논의에 적극 참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수소선박 등 향후 사업화가 예상되는 분야의 각종 기술기준이나 표준 마련에도 힘을 써야 한다. 규제자유특구나 규제샌드박스를 적극 활용해 신속한 실증을 거쳐 규제가 정착돼야 시장도 형성되고 기업도 투자에 나설 수 있다. 무엇보다 우리가 마련한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돼야 글로벌 시장 선점도 가능할 것이다.

수소는 청정성과 산업 부문에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천연가스에 버금가는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아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청정하게 생산된 수소를 특별하게 취급하는 수소 인증제와 인센티브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