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동향
1차 반도체 공급난 막아냈던 토요타…2차엔 무너져
수급난 장기화·日 공장 동남아 집중…피해 더 커
“車 반도체 기업 육성 및 공급망 체계화 필요”

[전기신문 오철 기자] 지난해 1차 반도체 공급난을 무난하게 막아냈던 토요타가 이번 2차 공급난을 피하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동남아시아에 불어 닥친 코로나19 확산세가 반도체 생산 공장을 멈추게 했기 때문이다. 국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반도체 기업 육성, 공급망 고도화 등 추가 공급 차질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토요타 사례로 본 미래 반도체 공급난 대응 방향’ 산업동향은 일본 토요타가 지난해 말 시작된 글로벌 자동차 반도체 공급난 당시 위기 대응 시스템과 협력체계에 힘입어 생산량 감소를 피했으나 최근 동남아발 2차 반도체 공급난의 여파로 감산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자동차 업계는 수요예측 실패·마이크로콘트롤유닛(MCU) 부족 등으로 올해 상반기 1차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을 겪었지만 곧 회복했다. 하지만 지난해 6월부터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며 동남아 지역의 반도체 생산이 줄어들며 2차 공급난이 발생했다.

특히 반도체 후공정이 집중된 말레이시아는 올해 6월 전국 봉쇄령 이후 공장 셧다운을 반복 중이며 베트남과 태국의 반도체 생산 공장도 멈춰 글로벌 공급망이 마비됐다.

차량용 반도체는 소량 생산, 신뢰성 검증 어려움 등으로 공급 유연성이 부족해 주요 생산국인 동남아의 생산 차질로 더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 결과 대표적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서는 지난달 작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100만대가 판매돼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공급난은 위험관리와 전략적 투자로 1차 공급난에도 생산을 늘려가며 위기를 타파했던 일본 토요타도 피할 수 없었다.

앞서 토요타는 내부적으로 수년간 위기 대응 시스템과 부품 공급망을 개선, 외부적으로는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일본 르네사스, 대만 TSMC 등 반도체업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1차 공급난을 이겨냈다.

또한 대체품에 대한 평가 시스템을 고도화해 신속한 대체품 생산 프로세스를 구축했고 그 결과 신규 제품 검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자동차 부품 공급에 유연성을 확보했다.

공급망 측면에서는 반도체 협력사들이 재고 비중을 늘렸고 모든 부품 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급망 정보시스템 '레스큐'를 개발해 공급 위험을 관리하고 재해에 대비했다.

토요타는 그 결과 1차 반도체 공급난에도 올해 상반기 약 500만대를 판매해 상위 5위 기업 중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토요타도 수급난 장기화와 동남아 집중 산업 구조로 2차 공급난에 피해가 발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차 반도체 공급난에 비축했던 재고가 최근 2차 공급난에서 모두 소비됐다. 또 일본은 동남아 지역을 일본 자동차 부품 생산의 30%를 집중 시킨 허브로 사용했기에 피해가 더 컸다. 이에 따라 토요타는 지난달 월 생산량의 40% 수준인 40만대를 감산했다.

보고서는 이번 공급난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국내 차량용 반도체 기업을 육성하고 하위부품 정보 관리와 신속한 대체품 평가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국가와 지역, 기업 간 전략을 모두 고려한 부품 공급망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홍창 선임연구원은 "공급 위기 시 우선협력이 가능한 차량용 반도체 기업을 육성해 그 기업과 직접적 협력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며 "위기 대응을 우선순위로 해서 지정학적 요소를 반영한 공급망 재편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