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용복합으로 인해 발주기관의 전문성이 부족해 지면서 시공분야 발주공사를 놓고 업역 다툼이 치열하다. 최근 업역 다툼이 치열한 것이 LED 바닥신호등 공사다. 도로를 이동하면서 휴대기기 사용의 증가로 인해 주요 사거리는 LED 바닥신호등 설치가 늘고 있고, 이동하는 시민들도 편리함을 느낀다. 문제가 된 것은 LED 바닥 신호등이 전기공사 전문영역 임에도 불구하고 일주 지차체에서 전문성을 무시한 체 통신공사 등으로 발주하면서다. 신호등 공사가 중요한 이유는 시민들의 안전 때문이다. 지난 2001년 7월 15일 경인지역에 1시간에 99.5mm의 호우로 물난리가 난적이 있다. 당시 물난리도 사회적 주목을 받았지만 국민들이 더 주목한 것은 가로등 및 신호등 누전으로 19명 사상자 발생한 사건이다. 서울에서 10명, 인천에서 4명, 경기에서 5명 등 가로등 감전으로 인한 사상 최악의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당시 대통령까지 나서서 안전대책을 강구했으며, 산업자원부는 가로등․신호등 안전관리대책 주관해 제도를 만들었다. 이렇듯 가로등 불을 밝혀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도 있지만 자칫 잘못 되면 시민들의 생명도 뺏을 수 있는 중요 시설이다. 이런 중요설비를 발주하면서 전문성을 따지는 않고, 공사발주를 한다는 것 자체가 발주기관의 전문성에 대해 의문을 품게한다. 기술의 융복합으로 인해 일부 기술일 접목됐다고 해서, 해당 시설물의 본연의 역할을 무시한발주 방식은 엄격히 제한 되어야 한다.

LED 바닥신호등은 대부분 어린이 보호구역 및 보행자 통행이 많은 구역에 설치되는 만큼 전문성을 갖춘 업체가 시공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국민들의 안전과 직결된 전문 영역은 전문기업이 참여해 일을 할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