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김광국 기자] 최근 새로운 품목의 사업을 시작하면서 담당 인력을 한명 한명 채용해나가고 있다. 그런데 경력직원보다 신입직원의 채용이 더 힘들다. ‘학력 버블현상’으로 요즘은 웬만하면 대졸이다. 중소기업을 대학졸업자(대졸) 구직자들이 선호하지 않아 고등학교졸업자(고졸) 신입도 구인하고 있으나, 예전에는 고등학교만 졸업하고 취업을 많이 했던 반면 요즘은 고졸 직원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최근 1년간 두 번이나 대졸 신입 인력이 입사한 지 6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퇴사하는 일이 있었다, 막상 근무해보니 중소기업이 본인이 갈려고 했던 공기업이나 대기업과는 차이가 있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특성화고등학교에 연락하여 취업담당 교사 및 취업지원관과의 면담을 거쳐 취업을 원하는 학생을 추천받아 면접을 실시해 채용하기로 하였다. 취업 시 정부의 각종 혜택도 주어지다보니 서로에게 ‘윈윈’이 되는 방법을 찾은 것이다.

기업은 오랫동안 근무를 할 사람이 필요로 하고, 또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이렇게 해서라도 인력을 채용·육성할 방법을 찾고 있다. 물론 걱정도 있다. 학생들이 중소기업에서 업무를 습득하여 경력이 쌓이게 되면 더 좋은 환경과 조건을 가진 더 큰 기업으로 가는 경우가 왕왕 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직업훈련원’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남일이 아니게 된 셈이다.

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똑똑한 인재를 채용하여 잘 훈련시켜 회사의 재목으로 삼고 싶지만 똑똑한 인재일수록 때가 되면 이직하지 않을까 하는 그런 걱정으로 선뜻 결정하기 힘들 때도 적지 않다. 업무를 잘 가르쳐 육성하는 것도 이러한 사유 때문에 쉽지 않기도하거니와, 겨우 업무를 좀 알고 혼자 일할 수 있을 정도가 되니 대기업으로 이직해버리는 경우도 잦아 우려가 크다.

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모두 근무해봤기 때문에 두가지 기업군의 특성을 잘 알고 있다. 각자 자신의 능력에 맞는 기업군에서 실력을 배양해서 커나가는 게 맞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처우 문제는 현실이기 때문에 직원들의 입장에서도 대기업을 선호하는 것을 말릴 수만은 없는 것도 사실이다.

반면 구직자들이 중소기업의 장점을 잘 모르고 있다는 점도 안타까운 대목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대기업에선 정년까지 근무하기가 어렵지만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이 문제에서 자유롭다. 특히 기술력만 보유하면 정년 없이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중소기업이며 우리 전력업계에선 더욱 그렇다. 다른 분야와는 다르게 경험과 숙련이 필요한 만큼 준비된 이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마련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몇 해 전 대학에 가서 강의를 할 기회가 생겼다. 강의를 마친 후 학생들에게 졸업 후 어떤 회사에 취업할것이냐고 묻자, 전공과 관계없이 모두 삼성·LG 등 대기업이란 대답이 돌아왔다. 자신들이 그 만한 기업에 가기 위한 각별한 준비도 마치지 못한 채 무조건 대기업만 가겠다는 것이다. 가고 싶은 곳이 있으면 목표를 정하고 취업에 필요한 최소한의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 기본이건만, 구직자들이 자신의 능력이나 적성에 대한 고민없이 막연한 희망만 품고 있는 일들이 오늘도 반복되고 있다.

필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모두 근무해온 경험을 토대로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해나갈 해법을 고민해봤다. 먼저 교수님들도 학교에서도 기업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 주어야 한다. 커리큘럼도 기업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바뀌어야 하고 공대계열이라면 최소한 전공과 관련한 전문 기술자격증도 하나 정도는 취득하도록 해야한다. 기본적으로 CAD도 습득하여 현장에서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현장중심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 해외사례도 참고할만 하다. 독일 등 선진국처럼 대학을 가는 사람과 고등학교만 졸업하여 본인의 자질에 맞는 분야에 취업하는 사람은 구분해 구직자들이 취업 후 전문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진로를 잡아주어야 한다. 노동이 필요한 소위 ‘3D’라고 불리는 분야의 인력을 대부분 외국인 근로자들이 담당하고 있는 기형적인 구조도 바로잡아야 한다.

대기업의 성장으로 국가의 위상 제고 및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앞당긴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대기업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존재가 필수적이라는 것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이야말로 국가의 존재를 위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한 본질적인 방안의 모색이 시급하다.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찾는 이들이 많아지고, 장기적 관점에서 채용을 진행해 미래를 설계해나가는 기업들이 늘어나도록 산·학계 종사자 모두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前)삼성전자 종합연구소·전략기획실 근무

▲(前)서전기전·비츠로테크·파워맥스·동우전기 임원

▲(前)케이디파워 대표이사

▲(現)에코스 대표이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