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공사, 최근 3년 정전사고 신고접수 결과 발표
각 아파트 전기안전관리자 정전 대비 변압기 등 수시 점검·관리 필요

전기안전공사의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인 에버서비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공사 직원이 정전사고가 발생한 아파트에서 임시복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전기안전공사의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인 에버서비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공사 직원이 정전사고가 발생한 아파트에서 임시복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전기신문 조정훈 기자] 무더운 여름철, 준공 20년이 넘은 500세대 이하의 중소규모 아파트가 정전사고의 위험에 가장 취약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박지현)가 지난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3년간 수행한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에버서비스) 결과 신고가 접수된 아파트 정전사고 842건 중 준공된 지 20년이 넘은 아파트에서 일어난 정전사고가 353건으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정전사고의 42%을 차지하는 것이다.

세대수별 통계에서는 500세대 미만 아파트의 정전사고 비중이 471건으로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 공사 측은 지은 지 오래된 중소규모 단지 아파트의 경우 가설 당시 세대 당 전기사용량 기준을 3kW로 설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대 당 사용량을 적게 책정했기 때문에 무더위 등으로 인해 전기사용량이 크게 늘어날 경우 변압기 과부하 등으로 인한 사고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해석이다.

사고 기기별로는 저압차단기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20%로 가장 많았다. 변압기와 특고압기기는 각각 18%와 13%를 차지했다.

월별·계절별 정전사고 통계에서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에서 9월 사이의 비중이 전체의 47%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공사는 이러한 아파트 정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각 아파트의 전기안전관리자가 단지 내 가동중인 변압기와 차단기 등의 용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전기사용량이 변압기의 적정용량을 넘어설 경우를 대비해 즉시 교체가 가능한 예비제품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여름철 정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밤 10시 사이에 변압기 상태를 수시로 점검 및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부하가 우려될 때에는 단지 내 입주민에게 냉방기기 사용 자제 등 절전 안내방송 등을 통해 신속하게 상황을 전파하고, 협조를 유도해야 한다.

정전 사고가 발생할 경우 비상용 발전기 등이 즉각 가동될 수 있도록 사전에 관리해둬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임종민 전기안전공사 안전관리처장은 “15년 이상 오래된 전기설비는 안전전문기관의 정밀진단과 점검을 통해 용량 부족과 정전사고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상 있는 설비는 제 때 교체해주는 것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기안전공사는 올여름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최근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취약시설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공공․민간 비상용 발전기 가동 지원은 물론 발전소 등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사용전․정기검사, 준공 25년 이상 노후아파트 1100여 곳에 대한 수전실 특별 안전점검을 시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