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안상민 기자] 발주처와 제품 형태를 떠나 조명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책임을 추궁받는 것이 조명용 컨버터 업계다.

조명에 이상이 발견되면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LH, 민간 건설사 등 발주처들은 조명업계에 A/S를 요청하고 이는 다시 컨버터 업계로 내려오는 구조다.

첫 번째 원인은 컨버터 업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이 고장났을 경우 컨버터 이상인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관행이 굳어지며 컨버터 업계에서도 다소 억울한 일이 발생한다. 대표적인 예가 최근 본지가 줄곧 다뤄온 조명 블링킹(Blinking, 깜빡임) 현상이다.

집 안에서 정수기, 비대, 다리미 등 순간 전력 소비량이 큰 제품을 사용할 경우 전압강하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조명 깜빡임 현상이 나타난다.

전압강하로 인한 이상현상은 다른 제품에서도 발생하지만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것은 조명 깜빡임밖에 없기 때문에 조명과 컨버터가 누명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억울한 상황은 실외등에서도 발생한다. 한 컨버터 업계 관계자는 막 설치한 가로등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민원을 받고 A/S에 나섰으나 이는 컨버터 문제가 아닌 시공자가 부하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다고 토로했다.

컨버터 문제로 인한 이상이 발생했다면 적절한 후속 조치가 당연한 절차지만 ‘일단 컨버터 업계에 맡기자’라는 굳어진 관행은 컨버터 업계의 억울한 수고를 만들어 내고 있다. 물론 발주처는 컨버터 업계의 ‘갑 중 갑’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입장 표명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당분간 컨버터 업계의 ‘을 노릇’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포화상태로 가격과 제품 마진은 더할 수 없이 떨어졌음에도 작은 물량이라도 따내려는 업체들이 더 긴 A/S 기간과 범위를 약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KS인증 물품 중에 조명 제품은 70%를 차지할 만큼 조명 및 컨버터 업계의 힘은 작지 않다. 컨버터 업계가 ‘을 노릇’을 그만하기 위해서는 노마진 경쟁을 멈추고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