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발전 하향·11일 도내 태양광도 ‘정지’…발전사 출력제한 손실은 ‘눈덩이’

지난 9일 ‘풍력발전 출력제약 판매손실 보전 위원회’ 발족식이 개최됐다.
지난 9일 ‘풍력발전 출력제약 판매손실 보전 위원회’ 발족식이 개최됐다.

[전기신문 최근주 기자]제주도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출력제한 발생빈도가 올해 역대 최대치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나 손실보전 방안은 아직 마련되지 못해 발전사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부터 시행된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은 그해에는 3회(152MWh)에 그쳤으나 2017년 14회, 2018년 46회, 지난해에는 77회(1만9449MWh)에 달하며 급증하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 출력제한 규모는 도내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3%에 달하며 30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상황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지난달까지 30회가 넘는 풍력 출력제한이 이뤄졌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그린에너지뉴딜 브리프 지난해 9월호에서 올해는 출력제어 횟수가 201회, 내년에는 240회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풍력에 이어 지난 11일에는 제주에너지공사가 설치한 태양광 발전 설비를 포함해 중부발전과 남부발전, 제주도 등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태양광 발전 시설도 가동이 멈췄다.

화력과 LNG 발전량을 하향 조정하고 풍력발전을 제한했음에도 전력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제주도 내에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늘어나면서 출력제한 발생 빈도 역시 급증한 것이다.

현재 전국에 확산해있는 태양광 발전사업과 달리 대부분 대규모 발전단지를 운영 중인 풍력발전사업자들이 강제 출력제한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강제로 출력제한을 시행 중인 발전사업자들은 손실보전 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골머리를 앓고 있다.

‘풍력발전 출력제약 판매손실보전위원회(이하 손실보전위)’에 따르면 도내 풍력발전 출력제약은 지난달 31일을 기준으로 손실액은 약 65억원으로 추정된다.

손실보전위는 제주도 내 출력제약을 시행 중인 풍력발전사업자 가운데 제주에너지공사, 한신에너지, SK D&D, 제주김녕풍력발전, 탐라해상풍력, 수망풍력이 주축이 되어 지난 9일 발족했으며 출력제약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아직 뾰족한 해법은 없는 상황이다.

지난 17일에 출력제한 해결을 위해 제주에서 생산한 전기를 육지로 보내는 역송 작업이 시작됐으나 여수·고흥 등지에도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설비가 들어설 예상인 만큼 제주의 잉여전력을 충분히 흡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은 “풍력발전 출력제약은 향후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이슈”라고 강조하며 “제주와 비슷한 문제를 겪었던 해외 사례를 보면 정부 차원의 보상과 함께 수소전환기술 및 ESS 설비를 통한 잉여전력 사용처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