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안상민 기자] ‘대기전력차단콘센트가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

아이러니하게도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만드는 제조업체에서 주로 나오는 의문이다. 그리고 대다수의 업체들은 ‘아마 효과가 없거나 미미할 것’이라는 대답을 내놓는다.

화재예방, 에너지 절감 등 결과만을 위해 과정을 생략한 전형적인 탁상공론의 결과물이라는 설명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첫 번째 이유는 ‘소비자의 귀찮음’이다.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1차적인 방법은 꽂혀있는 코드를 뽑는 것인데 이를 귀찮아 하는 소비자에게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특정 행위(대기전력차단 버튼을 누르는 등)를 요구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주황색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가 달린 콘센트의 경우를 예로 들 때 많은 대중들이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활용하지 않은 채 사용한다.

아파트에서 월패드로 사용하는 대기전력 차단기능도 마찬가지. 전력 차단·복구를 위해 한번 더 움직여야 한다는 것은 사용자에게 굉장히 ‘불편한 업무’로 인식된다.

이로 인해 대다수 가정에서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상시모드로 사용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두 번째 이유는 기능적인 문제다. 일부 대기전력 차단콘센트의 경우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방안들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이다.

대기전력차단을 표시하기 위한 LED나 대기전력차단콘센트 전용 리모컨 등은 소비자의 상시 사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며 대기한다. 대기전력차단을 막기위한 전력소모라는 모순적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시장은 지난 2011년 정부가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개정해 대기전력차단콘센트 또는 대기전력차단스위치를 의무화하면서 급성장했다.

지자체에 따라 대기전력차단콘센트 가구당 의무설치비율은 50~70%에 달할 정도로 보급이 활성화된 상태다. 그러나 지난 10년 간의 성과를 돌이켜 볼 때 정부의 정책이 제조업자와 소비자 모두를 설득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에너지 절약이 세계적인 추세임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실효성도 없는 정책을 보여주기식으로 진행하는 것은 인력, 재정의 낭비밖에 되지 않는다.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활용한 실효성 있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정부가 새로운 방안 또는 논리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